[독자 마당] 6·25전쟁 교훈 잊지 말아야 외

2021. 6. 23.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25전쟁 교훈 잊지 말아야

올해는 6·25전쟁 71주년이다. 오랜 세월이 흘러 전쟁의 상처가 아문 것 같지만 실향민들은 아직도 후유증에 신음하고 있다. 1950년 전쟁 발발 당시 20대 전후 이북 실향민들은 귀향과 통일을 염원하다 대부분 타계했다. 요즘 6·25전쟁이 점점 잊히고 있다. 해마다 기념 행사가 열리지만 전쟁의 교훈을 폄훼하거나 이에 무관심한 사람이 늘고 있다. 6·25전쟁 원인과 참상을 모르는 전후 세대도 많다. 이는 해이한 안보 의식과 북한 주장에 경도된 결과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현충일 추념사에서도 전쟁을 일으킨 전범(戰犯)인 북한을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은 6·25전쟁을 남침이 아닌 북침으로 규정하고, 중국은 ‘항미원조’ 전쟁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됐다는 사실을 애써 감추려는 인상이 짙다. 이런 안보관은 한·미 동맹을 약화시키고 북한의 무력 도발을 야기할 뿐이다. 굳건한 안보 태세만이 전쟁을 막고 자유와 평화를 지킨다는 6·25전쟁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혁진·미수복경기도개풍군민회 사무국장

‘정년 연장’보다 ‘청년 일자리’ 먼저다

국내 완성차 3사 노조가 “정년 연장을 해달라”는 국회 청원을 올리자 MZ세대 직원은 이에 반대한다는 글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올렸다. 평균수명이 늘고 인구는 감소하는 상황에서 정년 연장은 필요하다. 하지만 이보다 앞서 이루어져야 할 일이 있다. 청년 취업이다. 정년 연장은 청년 계층이 충분히 취업했는데도 인력이 부족할 경우 논의해야 한다. 이보다 더 앞서 이뤄져야 할 것은 양질의 일자리 확대다. 하지만 현 정부는 기업을 각종 규제로 옥죄면서 세금으로 단기 일자리만 만들어 고용 통계 수치를 높이고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정년 연장 논의에 앞서 기업 규제를 완화하고 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 증대 정책을 추진하는 게 순서다. /박창원·경기 구리시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