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네트워크 사업부, 첫 온라인 단독 언팩.."5G 네트워크 솔루션 공개"

이창규 기자 2021. 6. 22. 23: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핵심칩·고성능 기지국 라인업·신규 안테나 솔루션 공개
5G로 활성화될 프라이빗 네트워크 솔루션 공개 및 6G 선제적 기술 투자 강조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가 처음으로 단독 온라인 언팩을 개최하고 5G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개했다. 사진은 전경훈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 © 뉴스1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는 22일 온라인 언팩을 통해 신규 5G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가 단독으로 행사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Δ기지국용 차세대 핵심칩 Δ차세대 고성능 기지국 라인업 Δ원 안테나 라디오 (One Antenna Radio) 솔루션 Δ5G 가상화 기지국(vRAN) 솔루션 Δ프라이빗 네트워크(Private Network)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 기지국용 차세대 핵심칩 3종 공개…내년 고성능 기지국부터 적용 예정

기지국용 차세대 핵심칩은 Δ2세대 5G 모뎀칩(5G Modem SoC) Δ3세대 밀리미터웨이브 무선통신 칩(mmWave RFIC) Δ무선통신용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통합 칩(DFE-RFIC Integrated Chip) 등 3종으로 성능과 전력 효율을 높이면서도 기지국 크기를 줄일 수 있다.

'2세대 5G 모뎀칩'은 기존 대비 데이터 처리 용량은 2배로 늘리면서도 쎌(Cell)당 소비전력은 절반으로 줄인 게 특징이며, 5G 통신 필수 기능인 빔포밍(Beamforming) 연산도 지원한다.

'3세대 밀리미터 웨이브 무선통신 칩'은 28기가헤르츠(GHz)와 39GHz의 2개 고주파대역(mmWave) 주파수를 모두 지원하며, 안테나 크기를 약 50% 줄일 수 있는 첨단 기술을 탑재했다.

'무선통신용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통합 칩'은 저주파와 초고주파 통신에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칩으로 지원 주파수 폭을 최대 2배 늘리고 기지국의 무선 신호 출력을 높이면서도 소형화할 수 있는 칩이다.

이들 기지국용 핵심칩 3종은 내년에 출시되는 차세대 고성능 기지국 라인업에 탑재될 예정이다.

고성능 기지국 라인업·첨단 안테나·5G 가상화 기지국 솔루션 공개

삼성전자는 '3세대 듀얼밴드 컴팩트 매크로(Dualband Compact Macro)' 기지국과 '다중입출력 기지국(Massive MIMO Radio)' 등 고성능 이동통신 기지국 라인업도 공개했다.

3세대 듀얼밴드 컴팩트 매크로 기지국은 업계 최초로 2개의 초고주파대역을 동시에 지원하며 현재까지 공개된 제품 중 최대인 2400메가헤르츠(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중입출력 기지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널리 확산되고 있는 중대역 5G 주파수와 400MHz 광대역폭을 지원하며, 새로운 방열 기술을 적용해 최대 통신 속도는 높이면서도 소비전력은 20% 줄였고 크기도 30% 줄여 설치도 쉽다.

이 날 행사에서는 '원 안테나 라디오(One Antenna Radio) 솔루션'도 공개됐다.

원 안테나 라디오 솔루션은 3.5GHz 대역을 지원하는 대용량 다중입출력 기지국과 700MHz 대역부터 2.6GHz 대역을 지원하는 수동형 안테나를 통합한 것으로 안테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간편한 설치를 지원해 망 운영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이 밖에도 삼성전자는 상용 수준의 '5G 가상화 기지국(vRAN)' 솔루션을 공개했다. 5G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것으로 다중입출력 기지국과 연결되어 멀티 기가비트(Gigabit) 데이터 속도를 지원한다.

◇ 프라이빗 네트워크 솔루션 공개 및 6G 선제적 투자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이동통신의 새로운 영역인 '프라이빗 네트워크'에 특화된 솔루션을 공개하는 동시에 6G 기술에 대한 비전도 공유했다.

통신장비, 관리 및 운영 시스템,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등의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사업 규모와 산업군별로 맞춤형 '프라이빗 네트워크'을 제안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운영하고 있는 '5G 스마트 팩토리'와 국내 국가재난안전통신망(PS-LTE) 사업 등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테라헤르츠 데이터 통신에 성공하는 등 차세대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새로운 이동통신 시대를 선도해온 것과 마찬가지로 6G 기술 투자에도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5G를 넘어 6G 시대가 도래하면 확장현실(XR), 초고해상도 렌더링, 디지털 복제 등 산업의 물리적·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어 사용자의 손끝에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그 동안의 기술 혁신을 토대로 최첨단의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전경훈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은 이 날 행사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5G 시장에서 이미 4G 사업 계약 건수보다 더 많은 사업 계약을 수주했다"며 "전세계에서 400만대 이상의 5G 기지국을 공급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선도 업체와의 파트너십과 차별화된 솔루션을 통해 모든 사물과 사람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초연결 시대로의 진입 가속화에 앞장 설 것"이라고 말했다.

yellowapoll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