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큰 결단" vs "원칙 고수".. 대선 경선 일정놓고 쪼개진 민주당

권준영 2021. 6. 22. 19: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 연기론'을 두고 둘로 쪼개졌다.

이낙연 민주당 전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경선 연기파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통 큰 결단'을 요구했다.

민주당은 22일 국회에서 대선 경선 일정을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를 개최했다.

이재명계로 꼽히는 김병욱 의원과 김남국 의원은 '원칙'을 강조하며 경선 연기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의원들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회의 공개를 주장하는 설훈 의원의 의사진행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 연기론'을 두고 둘로 쪼개졌다.

이낙연 민주당 전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경선 연기파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통 큰 결단'을 요구했다. 반면 이 지사 측은 경선 일정의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맞섰다.

민주당은 22일 국회에서 대선 경선 일정을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의총에서는 경선 연기를 두고 찬성파와 반대파 각각 2명씩 찬반토론에 나섰다.

경선 연기 찬반토론에 앞서 이낙연계로 분류되는 설훈 의원과 정 전 총리 공개 지지를 선언한 김민석 의원 등은 토론 시작부터 의총 전면 공개를 요구하면서 지도부와 마찰을 빚었다. 이에 당 지도부는 난색을 표했고, 결국 토론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경선 연기 찬성 측인 홍기원 의원과 김종민 의원은 대선 후보 선출 시기를 11월로 늦추는 방안을 당무위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선 흥행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재명계로 꼽히는 김병욱 의원과 김남국 의원은 '원칙'을 강조하며 경선 연기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병욱 의원은 "명분이나 원칙뿐 아니라 실리나 현실 측면에서도 경선 연기는 불가능하다"며 "빨리 종결짓고 원팀으로 정권 재창출에 나서야 한다. 현실적으로도 후보자 간 이견이 있어 결론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남국 의원은 "4·7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한 이유 중 하나가 원칙을 지키지 않아서다"라며 "경선 일정은 단순히 의원들 합의 사안이 아니라 토론과 전당원 투표를 거쳐서 당원과 국민들에 약속한 것인 만큼 원칙을 바꿀 수는 없다"고 밝혔다.

당 내 '소신파' 조응천 의원은 "재보궐선거 패배 원인이 위선과 무능인데 제대로 반성도 하지 않고, 경선 연기를 두고 이렇게 하는 건 국민이 떡 줄 생각도 안하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게 아니냐"며 주장했다.

민주당이 '경선 연기'를 두고 첨예한 입장 차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결정은 송영길 지도부의 손으로 넘어갔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경선 일정 연기 여부에 대해 결정키로 했다. 송 대표는 "양쪽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돼 있다"며 "모두의 충정은 어떻게 경선을 활성화시켜 당 후보의 경쟁력을 높여 내년 3월 9일 대선에 승리할 수 있을지 각자 논지를 갖고 있을 것이나 의사 결정은 대표와 최고위원 등이 정리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경선 연기 공방이 계파 갈등으로 비화하면서 이재명계와 반 이재명계 전선이 형성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지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주제에 따라 입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반(反) 또는 비(非) 이재명계라는 표현은 안 듣고 싶다"고 선을 그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실제 경선을 연기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며 "당 내 지지율 1위인 이재명 지사가 강경하게 버틸뿐더러 굳이 연기론자들의 손을 들어줘서 당무위원회에서 경선 연기를 결정할 경우 엄청난 내분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권준영기자 kjykjy@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