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흐르는 아침] 금지된 사랑의 비극

2021. 6. 22. 17: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1835)는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지만 이탈리아 베로나가 무대인 '로미오와 줄리엣'과 닮은 면이 많다.

루치아가 미쳐 죽어가는 '광란의 장면'을 위시해 더할 나위 없이 슬픈 순간을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아름다운 멜로디와 초절기교의 테크닉으로 소화하는 것은 '궁극의 노래'를 지향하는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다운 특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도니체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1835)는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지만 이탈리아 베로나가 무대인 ‘로미오와 줄리엣’과 닮은 면이 많다. 해묵은 원수 가문의 청춘남녀가 우연히 사랑에 빠졌다가 반대에 부딪혀 맺어지지 못한 채 죽음으로 마무리되는 것이다. 루치아가 미쳐 죽어가는 ‘광란의 장면’을 위시해 더할 나위 없이 슬픈 순간을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아름다운 멜로디와 초절기교의 테크닉으로 소화하는 것은 ‘궁극의 노래’를 지향하는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다운 특징이다. 물론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관객의 눈물샘을 뜨겁게 자극하는 건 도니체티의 역량이다.

루치아와 연인 에드가르도의 비극이 더 슬픈 것은 이들이 별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진심으로 사랑했을 뿐인데 주변의 원한과 욕심, 사회적 인습이 이들을 좌절시켰다. 아픈 사랑에는 위로부터 보내야 한다.

유형종 < 음악·무용칼럼니스트 (무지크바움 대표)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