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에게 선물했던 김병종 그림 NFT경매로 출품

김은비 2021. 6. 22. 17: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14년 서울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방한 당시 선물한 김병종 화백의 '서설(瑞雪)의 서울대 정문'이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한 토큰) 경매에 출품된다.

글로벌 마케팅 전문 기업 워너비인터내셔널은 다음달 20~26일 김 화백의 첫 NFT 디지털 작품 경매를 한국, 중화권, 영국, 미국,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 등 총 22개국에서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월 20~26일 온라인서 진행
"작가와 저작권 문제 등 협의 마쳐"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지난 2014년 서울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방한 당시 선물한 김병종 화백의 ‘서설(瑞雪)의 서울대 정문’이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한 토큰) 경매에 출품된다.

김병종 ‘서설(瑞雪)의 서울대정문’, 한지에 먹과 채색, 35x27cm(사진=워너비인터내셔널)
글로벌 마케팅 전문 기업 워너비인터내셔널은 다음달 20~26일 김 화백의 첫 NFT 디지털 작품 경매를 한국, 중화권, 영국, 미국,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 등 총 22개국에서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서설(瑞雪)의 서울대 정문’은 서울대학교 정문을 배경으로 한국과 중국을 뜻하는 두 그루의 소나무가 얽혀있는 모습을 담아냈다. 눈이 오는 주위 상황에서도 한·중 두 소나무가 국민의 마음처럼 서로 우의를 다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린 작품으로 시진핑 주석의 방한 이후 해당 작품의 구매 관련 문의가 100여 통에 이르렀다고 화백은 설명한 바 있다.

해당 경매는 디지털 작품 통합 서비스 플랫폼 ‘엔버월드’(NvirWorld)’에서 진행된다. 해당 경매 수익금은 김화백의 뜻에 따라 국제 아동 보호 및 기금 마련을 위해 유니세프에 전액 기부될 예정이다.

워너비인터내셔널 관계자는 “김병종 화백의 작품이 NF로 처음 출품되는 건 처음”이라며 “김 화백과 저작권 등의 기타 권리에 대해서 모두 협의 후에 진행하는 경매”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병종 화백은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직과 가천대학교 석좌교수직을 역임하고 있다. 국내를 비롯한 프랑스, 독일, 미국, 벨기에, 일본 등지에서 국내외 개인전 40여 회, 대규모 초대 및 기획전 500여 회를 개최했다.

김은비 (demeter@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