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반응 기다린다'는 미에 "잘못된 기대"..북-미 본격 '밀당' 신호?

이제훈 2021. 6. 22. 13: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은 미국을 향해 "스스로 잘못 가진 기대는 자신들을 더 큰 실망에 빠뜨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22일 <조선중앙통신> (중통)이 보도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이날 낮 12시 <중통> 으로 공개된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부장 담화"를 통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우리 당중앙위 전원회의가 이번에 천명한 대미 입장을 '흥미 있는 신호'로 간주하고 있다고 발언했다는 보도를 들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 '담화' <중통> 발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흥미로운 신호' 발언 대응 성격
성김 미 대북특별대표 방한 기간 '대미 메시지' 주목
미에 좀더 구체적이고 진전된 제안 내놓으라는 압박인 듯
조선노동당 중앙위 8기3차 전원회의 당시의 김여정 당 중앙위 부부장 모습(붉은 원 안). 회의 사흘째인 17일 김여정 부부장을 포함한 참석자들이 모두 일어서 박수를 치고 있는 모습을 18일 <조선중앙텔레비전>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텔레비전> 화면 갈무리, 연합뉴스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부장은 미국을 향해 “스스로 잘못 가진 기대는 자신들을 더 큰 실망에 빠뜨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22일 <조선중앙통신>(중통)이 보도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이날 낮 12시 <중통>으로 공개된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부장 담화”를 통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우리 당중앙위 전원회의가 이번에 천명한 대미 입장을 ‘흥미 있는 신호’로 간주하고 있다고 발언했다는 보도를 들었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부부장은 “조선 속담에 꿈보다 해몽이라는 말이 있다”며 “미국은 아마도 스스로 위안하는 쪽으로 해몽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짚었다.

김 부부장의 담화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0일(현지시각) <에이비시>(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이번주 그(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발언을 우리는 흥미로운 신호로 본다. 그들이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우리에게 어떤 종류의 더 직접적인 소통을 후속으로 취하는지를 기다리며 지켜볼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한 북쪽의 첫 공개 반응이다. 김 부부장의 담화를 통해 미국에 보내려 한 신호는 ‘우리가 움직이기를 기다리지 말고, 당신들이 먼저 더 움직여라’로 읽힌다. “기다리며 지켜볼 것”이라는 설리번 보좌관 발언에 이어,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서울에서 21일과 22일 이틀 연속으로 “북한이 ‘언제 어디서든 조건없이 만나자’는 제안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희망한다”며 ‘이제는 북한 차례’라고 하자, 공을 다시 미국 쪽으로 보낸 셈이다. 거칠게 풀이하자면, 현 상황에서 북쪽이 대화·협상장에 나오리라 기대하지 말고, 미국 쪽이 좀더 진전되고 구체적인 대북 제안을 내놓으라는 속내가 담겨 있는 듯하다. 김 부부장의 담화는 본문 기준 140자, 네 문장으로 아주 짧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당중앙위 8기3차 전원회의(15~18일)에서 밝힌 ‘국제정세 대응 방향’처럼 대미 비난도 전혀 없다. 북한 특유의 선전선동 차원의 비판·비난은 빼고 꼭 하고 싶은 말만 담은 셈이다. 그만큼 진지하다는 방증이다.

이런 여러 사정에 비춰 김 부장의 담화는 겉으로 드러난 냉담함과 별개로, 북·미 대화의 시기·방식·내용 따위를 두고 본격적인 밀당이 시작됐음을 가리키는 신호로 볼 수도 있다.

앞서 김정은 총비서는 전원회의 셋째날인 지난 17일 “대화에도 대결에도 준비돼 있어야 한다”며 “조선반도 정세 안정적 관리 주력”과 “유리한 외부적 환경 주동적 마련”을 강조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