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산당 100년②..덩샤오핑의 등장부터 홍콩 시위까지

김정률 기자 2021. 6. 22. 0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N 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는 덩샤오핑 - 바이두 갈무리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오는 7월1일 공산당 창당 100주년 맞는 중국은 작은 거인이라고 불리는 덩샤오핑이 권력이 정점에 선 이후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한 이후 서방국가에 폐쇄적이었던 모습을 벗고 개혁·개방의 기치를 내걸고 시장경제 체제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중국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속 시장경제라는 결이 다른 정책을 받아 들이면서 혼란을 겪어야만 했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과 기존 이데올로기를 유지하려는 당 지도부 사이에서 충돌이 일면서 톈안먼 사태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중국의 이런 혼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가장 최근에서는 홍콩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 발생해 중국 정부의 고심은 커지고 있다. ◇작은 거인 덩샤오핑, 개혁·개방의 신중국 출현 신호

덩샤오핑은 마오쩌둥과 함께 중국의 전설적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덩샤오핑과 마오쩌둥의 행보는 사뭇 달랐다.

마오쩌둥 사망 이후 중국의 실질적 지도자가 된 덩샤오핑은 국가주석이나 당 총서기직에 앉지 않았지만 중앙군사위 주석자리에서 광범위한 경제개혁에 착수했다. 또 인구 증가 억제하기 위한 한 자녀 정책을 시행하는 등 민간부문의 발전도 이끌었다.

하지만 덩샤오핑도 꽃길만 걷지는 않았다. 문화대혁명 시기 자본사회주의를 추구하면서 반혁명분자로 찍혀 숙청당했다. 이후 마오쩌둥 사후 재복권되면서 권력을 쥐게됐다.

대만에서 톈안문(天安門)사태 32주년을 맞아 톈안먼 사태를 기리는 '8964' 조형물 (대만 빈과일보 갈무리) © 뉴스1© 뉴스1

◇톈안먼 사태…덩샤오핑 경제는 성공했지만 정치는 결국 일당독재

톈안먼(천안문) 사태는 중국 공산당이 민주화를 요구하던 베이징 톈안먼 시위 현장에 군을 투입해 유혈 진압한 사건을 말한다. 이 사태로 대학생과 시민 수백 수천 명이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톈안먼 사태는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의 산물이기도 하다. 기존 폐쇄 정책을 벗어나 서방 문물 등을 받아들이면서 자연스럽게 민주화 요구가 커졌다.

덩샤오핑은 경제에서는 대외 개방에 문을 열었지만 정치 분야에서는 여전히 일당독재의 악습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중국 정부는 톈안먼 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며 단식 투쟁이 이어지자 전차와 장갑차를 동원해 이들을 제압했고 이 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이런 소식은 때마침 방중한 고르바초프를 취재하던 세계 각국 취재단에 의해 생중계됐다.

하지만 중국은 톈안먼 사태를 반혁명 폭동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탄압했다. 중국은 인권과 자유 분야에서는 여전히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지우지 못했다.

◇전염병마다 등장하는 중국…'사스'와 '코로나19'

중국은 전 세계적으로 전염병 확산 고비마다 한 번씩 지목되기도 한다. 통제된 언론 보도 방식과 전염병 등 민감 사안에 대해서는 폐쇄적인 중국 정부의 성향 탓으로 보인다.

2002년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처음 발견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는 26개국 영향을 미쳤고, 2003년에서는 8000건 이상이 발생했다. 일부 언론 등에 따르면 중국 본토와 홍콩이 전체 감염의 87%, 84%를 차지했다.

2020년부터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도 중국 기원설이 끊임 없기 제기되고 있다.

사태 초기 이른바 '우한 바이러스'라고 불렸을 정도로 코로나19의 기원은 중국이라는 주장이 전 세계에 팽배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중국 조사팀은 바이러스 유출지로 지목된 우한 연구소 및 해당 지역에 대한 조사를 펼쳤지만 우한이 기원이라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의심 어린 눈초리는 여전하다.

중국이 사태 초기 우한 등 지역에 대한 조사를 불허하는 등 의구심을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중국을 겨냥 코로나19 기원설을 다시 재기하면서 중국 발원지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경제는 세계 2위지만 정치는 여전히 후진국…보시라이 스캔들 2012년 3월 중국 공산당의 유력 후계자로 꼽혔던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는 당 지도부가 바뀌기 전날 해임됐다.

같은 해 2월 보시라이 서기의 심복이었던 왕리쥔 공안국장은 정부 기밀문서 등을 들고 칭다오의 미국 총영사관을 방문해 망명을 신청했다. 보시라이 서기는 이에 책임을 지고 해임됐다.

이 사건은 영국인 사업가 닐 헤이우드가 보 전 서기의 부인인 구카라이와 내연 관계였으며 보 전 서기의 숨은 해외 재산 등을 알고 있다가 살해당했다는 주장이다.

보 전 서기의 부인은 헤이우드를 독살한 혐의로 사형, 보 전 서기의 일가는 모든 재산을 압류당하고 보 전 서기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중국 안팎에서는 보 전 서기 사건은 정치 스캔들이기도 하지만 중국의 권력투쟁에 따른 사건이라고 보고 있다.

9일 (현지시간) 홍콩에서 중국과 범인 인도 협정 개정 반대하는 시민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이고 있다. 정치범도 범인 인도 대상에 포함될 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의 이날 시위에는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인 약 100만 명이 참여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중국은 1997년 영국이 홍콩을 반환할 당시 이른바 1국 2체제 통치방식에 따라 50년간 홍콩에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한다고 했다.

중국은 홍콩을 수복한 이후 사사건건 홍콩에 간섭하며 중국의 홍콩지배를 강화해 왔다. 특히 2012년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 홍콩에 대한 통제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홍콩이 중국으로 범인을 인도할 수 있는 송환법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송환법이 제정되면 홍콩의 민주인사도 중국으로 끌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홍콩인들이 들고 일어섰다.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홍콩의 민주주의는 서서히 쇠락해 왔다. 홍콩 시민들은 반환송법 시위를 통해 그동안 억눌렸던 불만을 쏟아냈었다는 분석이다.

결국 홍콩 당국이 4개월 넘게 이어져온 반(反)정부 시위 도화선 '범죄인 인도 법안'을 공식 철회했다

jr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