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 20년 뒤 석탄 제치고 1위..韓 기업 전략 3가지는?

최민경 기자 2021. 6. 21. 16: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EA(국제에너지기구)가 2040년까지 발전량이 가장 많이 증가할 에너지원으로 태양광을 꼽은 가운데 한화솔루션 등 국내 기업들이 해외 태양광 발전소 사업에 집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삼정KPMG는 21일 'ESG시대, 성장과 도태의 갈림길에 선 국내 태양광산업의 돌파구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들의 태양광 사업 전략으로 △고효율 태양전지를 중심으로 한 미드스트림 고도화 △해외 태양광 다운스트림 진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태양광 신규 사업 발굴 등을 꼽았다.

韓 태양광 발전원가는 비싼데 판매가격은 하위권…해외 공략 필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로 글로벌 에너지 수요가 전년 대비 5.3% 감소했지만 유일하게 재생에너지 수요만 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이 연평균 4% 증가율을 보이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IEA는 2019년부터 2040년까지 석탄 발전량은 864TWh(테라와트시) 감소하는 반면 태양광은 4813TWh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태양광 시장도 2019년 누적 설비용량이 전년 대비 40% 증가한 10GW를 기록하고,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상반기 사상 최고 신규 설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 원가가 비싸고 태양광 전력 판매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 특성상 국내 태양광 발전공급자들은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국내 태양광 발전원가는 미국, 독일, 중국 등에 비해 1.7~2배 비싼 반면, 태양광 전력 판매가격과 직결되는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격은 낮아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REC 가격이 최소 MWh(메가와트시) 당 5~17만원인 반면, 한국은 지난해 월평균 4만원대까지 떨어졌다. 국내 전기요금도 IEA에서 분석한 17개국 중 최하위로 중위값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이 태양광 다운스트림과 미드스트림을 중심으로 미국, 독일 등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태양광 산업의 밸류체인은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으로 구성되는데 업스트림은 원료인 폴리실리콘과 잉곳·웨이퍼 등을 생산하는 단계다. 미드스트림은 태양전지와 모듈을 생산하는 단계고, 다운스트림은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기를 판매하는 단계다.

韓 미드스트림·다운스트림 중심 수출 전략 짜야…발전소 사업 선점 필요

태양광 업스트림은 중국이 점유율 95%를 초과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과점이 공고해질 전망이다. 미드스트림에 속하는 태양전지의 경우 중국 점유율이 낮은 반면, 국내 태양전지의 해외 수출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기준 국내 태양전지 수출의 93%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다. 미국이 미중무역전쟁의 일환으로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상계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 제품이 반사이익을 얻은 것이다.

상대적으로 기술 장벽이 낮아 중국의 공급량이 많은 모듈의 경우에도 수출국 다각화로 사업 기반이 넓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미국(56.9%), 네덜란드(16.4%), 일본(9.1%), 호주(7.2%), 독일(1.7%) 등으로 수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미국은 중국산 모듈과 태양전지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미국 내 생산설비를 갖춘 한화솔루션은 이미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한 상태다. 신성이엔지도 미국 태양전지 수출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보고서는 다운스트림인 태양광 발전소 EPC(설계·조달·시공) 사업도 한국보다 넓은 땅과 양질의 햇빛, 높은 수익성을 갖춘 해외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경우 태양광 모듈 등 공사에 필요한 주요 기자재를 국산 제품으로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수출의 기회도 된다. 또 발전소 건설 이후 O&M(운영·관리) 서비스를 맡으며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보고서는 해외 EPC 사업을 통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PV(태양광)와 ESS(에너지저장시스템)를 포함한 전력 패키지를 임대하는 사업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EPC 사업의 경우 태양광 발전 수요가 많고 발전 비용이 낮은 중국과 재생에너지에 송배전 우선권을 주는 독일에 진출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이 VPP(가상발전소) 사업에서도 글로벌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VPP는 분산된 재생에너지원 발전설비와 전력 수요를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통합해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한화솔루션은 VPP 사업을 위해 미국 에너지 관리시스템 개발 기업 젤리(Geli)를 인수했고, SK E&S도 스위스 에너지 기업 수시(Susi)와 합작사 일렉트로드 홀딩스를 설립해 미국 VPP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에너지 절약 및 피크절감법을 조언하는 에너지절약컨설팅 △다양한 전력 상품과 서비스를 병행 판매하는 소매결합판매 △소비자 편리성을 위해 전력조달을 일원화하는 소매원스톱서비스 등을 태양광 관련 신규 사업으로 제시했다.

삼정KPMG 제조산업본부장 변영훈 부대표는 "해외 태양광 시장 진출의 경우 EPC와 설비 리스, 매각에 그치지 않고 O&M부터 전력 판매까지 다운스트림 전 영역을 아우르는 비즈니스에서 경쟁력을 찾아야 한다"며 "국내 기업들이 VPP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신규 비즈니스 발굴로 새로운 기회를 선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용호 "류성재, 한예슬 전에 황하나 만났다…버닝썬과 연결"한예슬 "김용호·가세연 고소…더는 쿨하게 넘어가지 않을 것"여학생 80여명 불법촬영, 단톡방에 뿌린 남중생들신혼여행 하던 부부 엽총으로 살해…범인 "차 추월해 화가 났다""아동용 아냐?"…도쿄올림픽 선수촌 '골판지 침대' 논란
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