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크림 열심히 바르면 '고현정 피부' 될까요? [건강!톡]

김소연 2021. 6. 19. 19: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햇볕이 뜨거워 지면서 자외선 차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꼼꼼하게 자외선을 차단만으로도 기미와 주근깨, 좁쌀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

노화를 막기 위해 셀프로 꾸준히 운동을 한다는 김희애는 특히 피부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다고 강조했다.

자외선 차단제를 고를 땐 뒷면에 써있는 SPF(자외선차단지수)와 피부 노화의 원인인 PA(자외선A 차단지수)를 모두 확인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 피부 관리 첫걸음은 선크림"
햇볕 강해지는 여름, 자외선 차단 관심
선크림 꼼꼼하게 바르면 기미, 주근깨, 예방 가능
고현정/사진=한경DB


햇볕이 뜨거워 지면서 자외선 차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고현정, 김희애, 김희선 등 세월을 비껴간 미모를 자랑하는 배우들이 피부 관리의 시작으로 선크림을 꼽는다. 꼼꼼하게 자외선을 차단만으로도 기미와 주근깨, 좁쌀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 

여름에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화상은 물론 피부암까지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 지수는 태양 과다 노출로 예상되는 위험을 예보한 수치로 0부터 9까지 표시된다. 7 이상에서 30분 이상 노출될 경우 피부에 홍반이 생긴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외선은 흐린 날에도, 계절과 상관없이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올여름부터 가을, 겨울, 봄까지 매일매일 발라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노화 막기 위해 선크림 필수"

노화를 막기 위해 셀프로 꾸준히 운동을 한다는 김희애는 특히 피부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다고 강조했다. 때문에 40대의 나이에 한 화장품 매장에서 진행한 피부 테스트에서 피부 나이가 24세로 측정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자외선에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되면 피부 노화가 촉진되는데, 메이크업을 하지 않더라도 꾸준히 발라주는 게 팁이라고. 

김희선 역시 과거 예능 '섬총사'에서 자외선 차단 쿠션 팩트를 수시로 덧바르거나 꽃게잡이에 나서는 강호동, 김종민에게 선크림을 직접 발라주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선크림, 어떤 걸, 어떻게 발라야 하죠?"

하루 중 햇빛이 강한 오전 10시에서 오후 3시에는 자외선 차단이 필수다. 야외 활동을 할 때 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줘야 한다. 코로나19로 마스크를 쓰더라도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줘야 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외선 차단제를 고를 땐 뒷면에 써있는 SPF(자외선차단지수)와 피부 노화의 원인인 PA(자외선A 차단지수)를 모두 확인해야 한다. 숫자가 높아질수록 차단 효과는 높지만 그만큼 피부 자극도 커진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차단 지수는 30 안팎의 제품으로 선택해 3~4시간에 한번씩 발라주는 것을 추천한다. SPF50 이상의 제품이라도 1~2시간에 한 번씩 발라줘야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시간이 지나면 땀과 피부 분비로 차단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
 

 "잘 바르고, 잘 지우고" 

백옥 같은 피부로 "피부 관리로만 1억 원을 썼다"는 루머가 있었던 고현정도 선크림에 대한 신뢰를 항상 밝혀 왔다. 고현정이 쓴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한 선크림 브랜드가 품절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고현정이 자외선 차단 만큼 강조하는 건 세안이다. 고현정은 자신이 쓴 책 '고현정의 곁'에서 '15분 세안법'을 공개하며 "고운 피부를 유지하는 비결은 15분 동안 정성스레 클렌징을 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