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용]철새 지키려고 풀 뽑는 우리, 제법 멋있어요

팀지구용 기자 2021. 6. 19.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목동의 안양천 둔치를 찾은 에디터.

철새보호구역은 순천만처럼 좀더 광활한 습지·녹지에나 있는 줄 알았는데 여기도 철새가 머물다 가는 곳이더라구요.

생명다양성재단, 서울환경연합 등에서 조사를 해 봤더니 갈대가 사라진 이후 이 곳을 찾는 철새가 70% 이상 줄었대요.

그럼 생태교란종은 아무렇게나 뽑아 죽여도 되는 생명인가요? 그럴 리 없겠죠? 안양천철새보호구역시민조사단장인 최진우 박사님이 이 부분을 지적해 주셨어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천 공사 후 사라진 갈대와 철새
생태교란종 뽑고 갈대 복원 작업
사진제공=서울환경연합, 일러스트=정유민 디자이너
[서울경제]

※ 환경을 생각하는 뉴스레터 '지구용'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구독링크]

서울 목동의 안양천 둔치를 찾은 에디터. 철새보호구역은 순천만처럼 좀더 광활한 습지·녹지에나 있는 줄 알았는데 여기도 철새가 머물다 가는 곳이더라구요. 언뜻 어느 동네에나 있는 하천변 산책로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들어가면 풀이 무성한 둔치와 탁 트인 안양천이 보였어요.

목동 오목교 부근의 안양천 철새보호구역 풍경.

산책로를 따라 조금 걸어 들어가서 드디어 오늘의 작업 장소에 도착. 이 곳에서 ‘생태교란종’ 식물들을 뿌리뽑아야 해요. 지난해 지자체에서 하천 환경정비 공사를 했는데, 공사 차량이 드나들면서 그만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갈대까지 사라졌거든요. 그 자리는 환삼덩굴, 가시박, 돼지풀 같은 생태교란종들이 금세 채웠어요. 생명다양성재단, 서울환경연합 등에서 조사를 해 봤더니 갈대가 사라진 이후 이 곳을 찾는 철새가 70% 이상 줄었대요. 그래서 생태교란종을 뽑고 갈대를 복원하기 위한 활동에 나선 거구요.

갈대 대신 생태교란종으로 무성한 둔치와 이튿날 닥칠 근육통을 예감한 에디터

잠깐. 그럼 생태교란종은 아무렇게나 뽑아 죽여도 되는 생명인가요? 그럴 리 없겠죠? 안양천철새보호구역시민조사단장인 최진우 박사님이 이 부분을 지적해 주셨어요. "죽여도 마땅한 생명은 없어요. (이 곳의 생태교란종은)훼손된 강변 생태계를 초기 복원시킨 생명이죠. 살고 싶어하는 생명들은 죄가 없어요. 환경을 망친 인간이 죄를 지은 거죠."

환삼덩굴을 들어보이는 최진우 박사님.

한 시간 넘게 정신없이 풀을 뽑았어요. 갈대 씨를 심으려면 뿌리까지 잘 뽑아야 한대요. 가만히 있는 사람을 한 번 밀면 두 번째는 버티듯이, 식물도 뿌리를 덜 뽑고 남겨두면 더 깊고 강하게 뿌리를 내린대요. 그런 생명력을 가진 아이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어요.

뽑아낸 환삼덩굴, 가시박 무더기(동그라미). 휑해진 이 곳에 지자체에서 갈대 씨를 뿌릴 예정이에요. /사진제공=서울환경연합

뿌리와 가까운 줄기 아랫부분을 부드럽게 잡아 당기면 대부분 쑥 뽑혀나왔어요. 긴팔 옷과 장갑 사이에 드러난 손목에 환삼덩굴 가시가 스치면서 빨갛게 붓더라구요. 다행히 한두 시간 후엔 가라앉았지만, 팔 토시+장갑 조합이 훨씬 안전했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혹시나 다음 번 활동에 참가하실 분들은 참고해 주세요.

그동안 서울환경연합의 안양천 갈대숲 복원, 철새 지킴이 활동은 여기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어요. 도움이 필요할 때 얼른 손을 들고픈 용사님들이라면 지역벽 환경연합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등을 자주 확인하면 돼요. 이번 겨울에는 철새들이 무성한 갈대숲에서 편히 쉴 수 있길.

/팀지구용 use4us@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