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과학]첫 번째 바코드 찍히다

이병구 기자 2021. 6. 19.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물건을 살 때 거의 항상 하는 일이 있습니다.

 1949년 1월우드랜드는 슈퍼마켓 손님들이 물건을 빨리 사서 나가는 방법을 찾다가 손가락으로 해변의 모래를 긁다가 바코드의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바코드가 붙은 물건 가운데 최초로 판매된 상품은 껌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전 세계 모든 물건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바코드는 발명이 바로 세상을 바꾸지는 않는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예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4년 6월 26일
통조림 바닥에 붙어있는 원형 바코드. 초기 바코드는 선형과 원형 두 가지로 개발되었고, 한때 원형 바코드가 쓰이기도 했다. 아이다호주박물관

물건을 살 때 거의 항상 하는 일이 있습니다. 바로 바코드 찍기입니다.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들이 반복된 형태인 ‘바코드’는 물건의 종류, 가격, 제조 회사 등 상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판독기로 바코드에 강한 빛을 비추면, 흰색 막대에서 빛을 반사해 판독기로 돌려보냅니다. 이때, 흰색 막대의 굵기에 따라 판독기로 돌아오는 빛의 양이 달라집니다. 컴퓨터는 빛의 양에 따라 빛 신호를 2진법에서 쓰이는 0이나 1로 해석합니다. 이 숫자 신호를 해석하면 바코드에 담긴 상품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바코드는 미국의 발명가 노먼 조셉 우드랜드와 친구 버나드 실버가 만들었습니다. 1949년 1월우드랜드는 슈퍼마켓 손님들이 물건을 빨리 사서 나가는 방법을 찾다가 손가락으로 해변의 모래를 긁다가 바코드의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모래에 남은 길쭉한 선처럼 여러 개의 막대에 상품 정보를 담자는 생각이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렇게 개발된 바코드는 1952년에 특허를 받았지만 바로 쓰이지는 못했습니다. 바코드를 쓰려면 바코드를 읽고 정보를 처리하는 장비가 필요했습니다. 바코드를 어떤 모양으로 만들고 정보를 담을지 표준도 정해야 했습니다.

결국 최초의 바코드는 특허를 받은 뒤 20년도 넘게 지난 1974년 6월 26일 오전 8시 미국 오하이오주의 작은 마을인 트로이의 한 슈퍼마켓에서 처음 사용됐습니다. 전날 밤 슈퍼마켓 직원들이 매장에 있는 수천 개의 품목에 바코드를 붙였고 바코드를 읽을 컴퓨터와 스캐너도 새로 설치했습니다. 바코드가 붙은 물건 가운데 최초로 판매된 상품은 껌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전 세계 모든 물건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바코드는 발명이 바로 세상을 바꾸지는 않는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예입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