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칠승 장관, 장애인 기업 및 단체들과 현장 소통

2021. 6. 18. 12: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6월 18일(금) 서울 당산동 소재의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이사장 서기영, 이하 센터)에서 장애인 기업 및 단체들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장애인의 창업과 경제활동을 촉진하고자 장애인 기업과 단체의 현장 의견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기부는 논의된 사항들은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정책에 반영하는 등 향후에도 장애인 기업 및 단체들과 소통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6월 18일(금) 서울 당산동 소재의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이사장 서기영, 이하 센터)에서 장애인 기업 및 단체들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장애인의 창업과 경제활동을 촉진하고자 장애인 기업과 단체의 현장 의견을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애인기업 간담회 개요>
 
ㅇ (일시/장소) ‘21.6.18.(금), 14:00~15:30(90‘)/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2층 회의실
 
ㅇ (참석자) 중기부 장관, 최혜영 국회의원, 장애인기업, 장애인단체 등 10명
 
ㅇ (주요내용) 장애인 기업과 단체의 현장 애로사항 청취 및 지원정책 개선방향 논의
 

이날 간담회에서 권 장관은 “장애인은 더 이상 보호의 대상이 아닌 경제적 주체로 자립해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장애인이 기업활동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것은 사무실에서 외부로 이동할 때의 제약이나 업무 수행할 때 의사 소통의 불편함이다”라며,

“지금까지 중기부는 장애인기업에게 사무공간 제공, 사업화 자금 등을 지원해 왔으나 1인 장애인 사업주의 신체적 어려움을 완화해 주는 보조 공학기기 지원은 없었다. 유사한 지원사업*이 고용부에 있으나 1인 장애인 사업주 지원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왔다”고 말했다.

*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장애인 근로자 및 4인 이하 장애인 사업주 대상보조공학기기 지원(단, 1인 장애인 사업주 제외)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기부는 내년부터 1인 장애인 사업주에 대한 보조공학 기기*를 지원해 주는 사업을 신설해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며,

* 장애인의 경영활동에 필요한 점자단말기(시각), 의사소통보조기기(청각) 등 지원

“이와 같이 앞으로는 장애인의 입장에서 사소하더라도 조금 더 세밀하게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이날 간담회는 8명의 장애인 기업과 단체의 관계자가 참석해 기업 운영의 애로사항과 정책 개선에 대한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졌고,

중기부는 논의된 사항들은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정책에 반영하는 등 향후에도 장애인 기업 및 단체들과 소통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경영지원과 이철한 사무관(042-481-4566)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장애인기업 현장간담회 개요
 

□ 간담회 개요

ㅇ (목적) 장애인 경제활동 촉진 및 장애인기업 육성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제도개선 방향 논의

ㅇ (일시) 2021. 06. 18(금) 14:00 ~ 15:30 (90분)

ㅇ (장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2층 회의실(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ㅇ (참석자) 총14명

- 중기부(4명) : 중기부 장관, 박치형 소상공인정책관, 담당과장 등

- 국 회(2명) :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

- 센 터(4명) : 서기영 이사장, 이상호 센터장, 본부장 등

- 장애인단체(2명) : 김동범(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이권희(장애인인권포럼 상임대표)

- 장애인기업(4명) : 정원석(㈜돕다 대표이사), 오영진(위즈온 협동조합 기획이사), 전순호(호보 대표), 최정화(두빛나래협동조합 이사장)

ㅇ 주요내용

-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주요 현황 보고

- 장애인기업 및 장애인단체 현장의견 청취

□ 세부 일정
시 간 주 요 내 용 비고
14:00~14:02 2분 · 개회 및 참석자 소개  
14:02~14:05 3분 · 인사 말씀  
14:05~14:10 5분 · 홍보 영상 (센터 소개 및 성공 사례)  
14:10~14:30 20분 · 센터 주요 현황 보고  
14:30~15:25 55분 · 자유토론  
15:25~15:28 3분 · 마무리 말씀  
15:28~15:30 2분 · 폐회 및 기념사진 촬영  
참고 2   간담회 참석자 명단
 
구 분 성 명 주요 경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2a00f6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3pixel, 세로 372pixel
서기영
 
장애인기업지원센터
이사장(비상임)
• 現, 메카클로 대표
• (前) 장애경제인협회 상근이사
• 전남대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이상호센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pixel, 세로 172pixel
이상호
 
장애인기업지원센터 센터장(상임)
• 前,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정책위원장
• (前)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성공회대 시민사회복지대학원
김동범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 사무총장
• 現,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무총장
• (前)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문위원
• 성균관대 사회복지 박사수료
이권희
 
장애인인권포럼 상임대표
• 現, (사)한국장애인인권포럼 상임대표
• 現, 서울특별시 장애인체육회 이사
• (前) 서울특별시 장애인복지 실무위원회 위원
정원석
 
㈜돕다
대표이사
• 現, ㈜돕다 대표이사
• 現,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비상임이사
• (前) ㈜오투오그린코리아 대표이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81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8pixel, 세로 243pixel
전순호
 
호보(HOVO)
대표
• 現, 호보(HOVO) 대표
• 現,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입주기업협의회장
오영진
 
위즈온협동조합
기획이사
• 現, 위즈온협동조합 기획이사
• (前) 위즈온협동조합 이사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81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5pixel, 세로 230pixel
최정화
 
발달장애인 두빛나래 협동조합
이사장
• 現, 두빛나래 협동조합 이사장
참고 3   1인 장애인 사업주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개요
 

□ (사업목적) 정책사각지대에 속한* 1인 장애인 사업주에게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여 경영활동 안정화 및 장애인 고용 촉진

* 1인 장애인 사업주의 경우 사업주와 고용인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주이자 근로자임에도 사업주라는 이유로 보조공학기기 지원대상에서 제외된 것은 차별(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 20.4)

□ (지원규모) 1인 장애인 사업주* 총 30명(1명 당 5백만원 한도 내 지원)

* 중소벤처기업부 장애인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사업주에 한하여 지원

□ (지원방식) 1인 장애인 사업주에게 필요한 보조공학기기(점자단말기, 의사소통보조기기, 사무보조기기 등)을 물품가액 5백만원 한도내 지원

(지원가능 보조공학기기) 지원가능 보조공학기기 목록(약 70점 내외)에 등록된 보조공학기기를 정해진 물품가액 한도내 지원*

* 단, 지원받는 보조공학기기 물품가액의 10% 자부담

□ (추진일정) 2022년 2월 공고 예정

2022년 3월 심사 및 지원대상* 확정 후 2개월 이내 지원

* 중증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 우대

□ (지원가능 대표 보조공학기기) 장애인의 경영활동에 필요한 사무보조기기 등에 한하여 지원(차량용 보조공학기기 등 제외)

<지원가능 대표 보조공학기기 예시>
사진 대상 내용 물품가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9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4pixel, 세로 282pixel
청각
(의사소통보조기기)
· 음성을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 출력
· 이모티콘 등 다양한 소통방법 지원
약 2~3백만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9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7pixel, 세로 283pixel
시각
(점자단말기)
· 윈도우, 안드로이드 기반 점자 입출력기
· 정보를 하단의 점자판에 순차출력
약 5~6백만원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