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여담>靑의 '오스트리아 모욕'

기자 2021. 6. 18. 11: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은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을 피해 조국 오스트리아를 떠나는 게오르그 폰 트랩 가족의 실화를 다룬 작품이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아돌프 히틀러 총통에 의해 독일에 병합된 상태였다.

독립국이던 오스트리아는 1938년 히틀러 군에 점령되며 독일로 편입됐고, 1945년까지 나치 치하에서 살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미숙 논설위원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은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을 피해 조국 오스트리아를 떠나는 게오르그 폰 트랩 가족의 실화를 다룬 작품이다. 잘츠부르크 인근 논베르크 수도원의 견습 수녀 마리아가 상처(喪妻)한 폰 트랩의 일곱 자녀 가정교사로 들어가 가족의 일원이 된 후 알프스 산맥을 넘어 스위스로 탈출하는 과정을 그렸다. 1959년 뮤지컬로 뉴욕 브로드웨이 무대에 올려진 데 이어 1965년 영화화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다. 마리아 역을 맡은 줄리 앤드루스가 오스트리아의 빼어난 풍광 속에서 아이들과 함께 부르는 ‘도레미송’ ‘에델바이스’ ‘안녕히 계세요(So long farewell)’ 등 아름다운 노래가 오래 기억되는 명작이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아돌프 히틀러 총통에 의해 독일에 병합된 상태였다. 퇴역 해군 대령인 폰 트랩이 가족과 함께 망명을 결심한 이유도 나치의 군 복귀 명령 때문이다. 독립국이던 오스트리아는 1938년 히틀러 군에 점령되며 독일로 편입됐고, 1945년까지 나치 치하에서 살았다. 2차 대전이 끝나며 이후 미국과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 분할 점령시대를 거쳐 1955년 독립했다. 오스트리아는 독일과 같은 게르만 민족인 데다 독일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오스트리아인들은 “독일인이냐”는 질문을 불쾌하게 여긴다고 한다. ‘사운드 오브 뮤직’에 담긴 점령-피점령 역사의 반영이기도 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오스트리아 하일리겐크로이츠 수도원을 찾았을 때, 청와대는 인스타그램 계정에 방문 사진과 함께 독일 국기를 태극기와 나란히 올렸다. 오스트리아 국기는 적·백·적, 독일 국기는 흑·적·황 3색으로 이뤄져 헷갈리지 않는다. 청와대가 어떻게 전혀 다른 이미지의 독일 국기를 올렸는지 알 수 없다. 오스트리아는 코로나 위기 후 처음 이뤄진 문 대통령의 국빈방문국이다. 그런데도 청와대가 독일 국기를 올린 것은 오스트리아에 대한 모욕이자 역사의 상처를 헤집는 행위다. 오스트리아 정부가 문 대통령의 방문 자료에 태극기 대신 일장기를 넣었다면 어땠겠는가. 청와대는 “야근자의 실수”라며 발뺌했다. 능라도 사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제거’ 등을 보면 실수가 아니라 초등학생보다 못한 ‘실력’ 때문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