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 정상회의도 중국 겨냥..중국 "간섭 용납 못해", 대만과 긴장도 높아져

베이징|이종섭 특파원 2021. 6. 16. 1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가운데)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왼쪽),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15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의 미국·EU 정상회의장에 도착해 함께 이동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과 유럽연합(EU) 정상이 만난 자리에서도 중국은 중요한 화두가 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에 이어 EU와 정상회의를 가진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도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등을 거론하며 중국을 겨냥했다. 중국은 이에 크게 반발하면서 군용기를 동원해 무력 시위를 하며 대만과의 군사적 긴장을 높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정상회의를 갖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협력, 경쟁, 체제 경쟁의 요소를 포함해 중국에 대한 모든 영역의 문제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신장과 티베트에서의 인권 침해, 홍콩 내 자치와 민주적 절차 쇠퇴, 경제적 강압, 허위정보 유포, 지역 안보 문제 등 공동의 우려에 대해 계속 조율할 것”이라며 “우리는 동·남중해 상황에 대해 심각히 우려하고 있으며,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양안(중국과 대만)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권장한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영국 콘월에서 발표된 G7 정상 공동성명에 이어 EU와의 공동성명에서도 다시 한번 중국이 핵심 이익으로 여기는 민감한 문제들을 모두 거론하며 중국을 압박한 것이다. EU 주재 중국 사절단은 이에 대해 입장문을 내고 “미·EU 공동성명은 구시대적인 냉정적 사고와 집단 정치 수사로 가득 차 있다”면서 “이런 식으로 소집단을 만드는 방식은 역사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며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이어 “대만과 홍콩, 신장, 티베트 문제는 중국 내정이고, 동·남중국해는 중국의 영토 주권과 해양 권익에 관련된 것”이라며 “중국의 근본 이익에 대한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바이든 대통령이 유럽 순방을 통해 동맹을 결집하면서 잇따라 대중국 견제를 표면화하자 보란듯이 군용기를 동원해 대만을 겨냥한 무력시위도 벌였다. 대만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J-16 전투기 14대와 H-6 폭격기 4대 등 중국 군용기 28대가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에 들어왔다. 올 들어 중국 군용기의 대만 ADIZ 진입이 잦아지기는 했지만, 이날 동원된 군용기는 대만 국방부가 지난해 중국 군용기 접근 상황을 공개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 규모다. 양녠주(楊念祖) 전 대만 국방부장은 중앙통신에 “G7 공동성명에서 처음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중국이 높아지는 외부 압력에 대응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중국 군용기의 대규모 출동은 중국이 주권 문제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계속 대만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중국을 견제하고 있어 대만해협의 긴장감은 더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지명자는 이날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중국을 “가장 큰 지정학적 시험대”라고 규정하면서 “민주적 파트너인 대만과의 강력한 유대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동맹·파트너와 협력하고 국제기구에 관여하면서 우리의 가치를 옹호하고 외교·군사 능력에 투자함으로써 유리한 입장에서 중국에 접근하는 것을 지원할 것”이라며 “중국의 위협에 대항하고 불법적인 해상 주장에 맞서고자 파트너들의 역량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이종섭 특파원 noma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