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음식료 - 수산식품 테마, 사조대림 +3.16%, CJ씨푸드 +2.95%

C-Biz봇 2021. 6. 16. 14: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참치캔, 김, 어묵, 맛살, 젓갈 등의 수산가공식품은 경기변동에 민감하지 않으나 명절인 설과 추석 시즌 선물세트로 판매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수산물 가공식품 기업들은 원재료인 수산물 가격이 하락해야 유리.

'K-씨푸드' 강화를 위한 온라인 유통 및 수출 물류 체계 활성화 지원 등을 통해 수산식품 산업규모를 2018년 기준 11.3조원에서 2025년 13.8조원으로 22.1% 성장시킨다는 목표.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음식료 - 수산식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1.79% 상승세이다. 사조대림(003960) +3.16%, CJ씨푸드(011150) +2.95%, 신라에스지(025870) +2.66%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3줄 요약▷ 수산물 조달능력, 보관시스템, 유통채널 보유 필수▷ 수산물 가격 하락시 유리..제품가 인상, 프리미엄 제품 확대시 마진 개선▷ 수산식품 산업규모 2018년 11.3조원→2025년 13.8조원 성장 목표

수산식품산업이란 섭취 가능한 수산물을 원료로 가공·포장·유통·판매까지 전반적으로 하는 산업. 원재료(수산물) 조달능력, 냉동·냉장보관 시스템 확보, 유통채널 보유 여부 등이 필수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

참치캔, 김, 어묵, 맛살, 젓갈 등의 수산가공식품은 경기변동에 민감하지 않으나 명절인 설과 추석 시즌 선물세트로 판매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육계 관련 질병(조류인플루엔자 등)과 양돈 관련 질병(아프리카돼지열병 등) 발생 시 대체상품으로 주목받아 반사이익에 대한 기대로 관련주가 부각 받기도 함.

수산물 가공식품 기업들은 원재료인 수산물 가격이 하락해야 유리. 또한 제품가 인상 후 원가 하락 및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는 마진 개선으로 이어짐.

2021년 상반기 다랑어와 물류비, 통조림 캔의 원자재인 알루미늄 가격 상승으로 참치 가공업체들은 가격 인상을 단행. 오뚜기는 2월 참치(200g)캔 가격을 14.2% 올렸고, 동원F&B는 5월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동원참치 캔 가격을 인상함.

국내 수산물 가공식품의 수출시장은 일본, 중국, 미국 상위 3국 수출 비중이 전체 61.8%를 차지. 무역 분쟁 등으로 인한 수출 규제시 대체 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출 시장 부재. 또한 2021년 4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으로 소비자들의 수산물 안정성 우려가 높아짐. 이는 수산식품의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부정적.

정부는 2021년 2월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수산식품산업법) 시행령을 마련. 수산식품산업 본격 육성을 위해 3월 '제1차 수산식품산업 육성 기본계획(2021∼2025년)'을 발표. 'K-씨푸드' 강화를 위한 온라인 유통 및 수출 물류 체계 활성화 지원 등을 통해 수산식품 산업규모를 2018년 기준 11.3조원에서 2025년 13.8조원으로 22.1% 성장시킨다는 목표. (출처 : 해양수산부)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사조대림(003960) +3.16% 수산, 식품(어묵, 맛살, 육가공 등) 제조 판매업과 원양어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닐슨에 따르면 어묵은 시장점유율 2위. 맛살은 시장점유율 1위.
CJ씨푸드(011150) +2.95% CJ그룹 계열의 수산물 가공식품 전문업체. 어묵, 맛살, 김, 유부 등을 생산 및 판매. 닐슨에 따르면 어묵은 시장점유율 1위, 맛살은 시장점유율 5위. 유통은 CJ제일제당과의 판매 계약을 통해 CJ제일제당의 네트워크를 활용. (2020.12.31 기준, 출처: 사업보고서)
신라에스지(025870) +2.66% 어육소시지와 수산물 가공식품 제조업, 수산물 유통, 축육도매업을 영위하는 업체. CJ제일제당에 어육소시지(맥스봉 등)를 OEM 방식으로 납품. (2020.12.31 기준, 출처: 사업보고서)
사조씨푸드(014710) +2.42% 횟감용 참치 및 일반수산물 가공·유통업체. 참치 어획에서부터 유통, 수출, 부가식품 개발, 판매업을 영위. 횟감용 참치는 일본 및 해외 거래처, 국내 참치 대리점과 전문점, 대형 유통마트 등에 판매. 김은 사조대림 등 유통업체를 통해 위탁 및 수출 판매. (2020.12.31 기준, 출처: 사업보고서)
동원F&B +1.55% 일반식품 부문, 조미유통 부문, 사료 부문 등의 사업을 영위. 국내 참치캔 시장점유율 1위 업체. (2020.12.31 기준, 출처: 사업보고서).
오뚜기(007310) +0.91% 건조식품, 양념소스, 유지류, 면 제품, 농수산 가공품 등을 생산하는 업체. 닐슨코리아 조사 기준 국내 참치캔 시장점유율 3위. (2020.12.31 기준, 출처: 사업보고서)
한성기업(003680) -1.09% 원양어업 및 수산물 가공업체. 원양어업을 통한 어획물(명태, 참치 등)이나 수산가공품을 국내 공급 및 수출하는 해외사업, 관계기업인 한성식품과 한성수산식품에서 생산한 제품의 상품을 판매하는 식품부문, 임대업의 기타부문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 한성게맛살과 크래미(시장점유율 2위), 한성젓갈 및 비벼 먹는 젓갈 시리즈, 맛있는 어묵 등이 있음. (2020.12.31 기준, 출처: 사업보고서)

음식료 - 수산식품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5.46%
1개월 등락률 -0.11%
1주 등락률 +2.87%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