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양보다 질! 성장하는 한국 소주 [명욱의 술 트렌드]

이복진 2021. 6. 16. 00: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동 진맥소주
얼마 전 한국 전통주 업계에는 낭보가 하나 전해졌다. 안동 진맥소주와 한국 최초의 토종 진(gin)이라고 불리는 부자진(BUJA GIN)이 지난 4월에 열린 샌프란시스코 국제주류품평회(SFWSC)에서 더블골드 메달과 브론즈 메달을 획득했다. 직원만 수천, 수만 명이 되는 대기업이라면 마케팅 및 홍보력의 결과로 볼 수 있겠지만, 두 업체 모두 수작업 중심의 소규모 양조장들이다.

특히 진맥소주는 직접 재배한 안동의 통밀을 원료로 증류 후 2년 숙성을 통해 출시되고 있으며, 부자 진은 이름 그대로 아버지의 허브 농장에서 수확한 한국산 허브와 쌀을 증류해 만든 제품이다. 즉, 두 제품 모두 한국의 농업의 가치를 살린 프리미엄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 증류주 시장은 그동안 저가 제품이 주류를 이뤘다. 맛과 향을 중시하기보다는 가성비를 추구했다. 이러한 가성비 추구 문화에 맞추기 위해서는 대량생산이 필수적이었다.

저렴하게 만들기 위해 주정에 물을 넣고 조미료로 맛을 내야 했다. 이러한 가성비 시장이 소비자에게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부담 없이 하루의 노곤을 풀 수 있다면, 그것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하지만 가성비 추구에 너무 치중돼 있다는 것이 문제다. 소비자 선택의 폭이 좁아진 시장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한국 증류주, 또는 전통 소주는 이렇게 가성비와는 거리가 멀었다. 17세기 초 안동 장씨가 기록한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에는 쌀소주, 찹쌀소주, 밀소주(진맥소주) 등이 그대로 기술돼 있다. 궁중에서는 내의원이 은솥으로 증류, 소주를 만들었다. 이러한 모습은 훗날 진도 홍주로 이어졌다.

부자진
전봉준 장군이 마시고 원기를 회복했다는 죽력고, 조선의 감기 예방용 술인 배와 생강의 소주 이강주, 그리고 춘향이가 이몽룡을 잡고자 최후의 승부수로 던졌다는 감홍로 등 스토리 풍부한 전통주 및 전통 소주가 우리 주변에 많다. 우리도 스카치위스키, 프랑스 코냑만큼 멋진 문화를 품고 있다. 다만, 우리는 여전히 우리 술은 잘 모르고, 외국 술에만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이렇게 된 것은 생활이 서양화되고 경제, 정치, 산업까지 그들을 따라가는 데만 너무 바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G7 정상회의에 초대될 정도로 국격이 높아졌으며, K-Culture라는 한국 문화는 트렌디함을 넘어 힙함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때는 우리가 그들에게 배웠다면, 이제는 그들도 우리를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것을 돌아봐야 한다. 무작정 많이 구입해서 마시자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까다롭게 꼼꼼히 체크해 봐야 한다. 어떤 재료로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었는지 더 자세히 바라보며 칭찬과 비판 모두 필요하다. 이렇게 해야 전통주 산업, 나아가 소주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 우리 농산물에 근거한 술이 많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은 우리 농업의 부가가치 창출 및 나아가 농업 전반에 걸쳐 성장을 이뤄낼 수 있다.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전통주는 최근에 비대면(온라인)으로 구입 가능한 이점과 그리고 전통주 보틀숍 등장으로 관련 산업이 또 한 번 성장했다. 여기에 소규모 양조장, 한식주점 등 새로운 산업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통주의 성장은 타인의 취향을 존중하고, 자신의 개성을 찾는 현재 소비자(MZ세대)의 모습과 연관이 있다. 이들은 술이라고 다 같은 술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전통주를 찾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양이 아닌 질에 집중할 때다.

명욱 주류문화칼럼니스트&교수

●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는…
 
숙명여대 미식문화최고위 과정, 세종사이버대학교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객원교수. SBS팟캐스트 ‘말술남녀’, KBS 1라디오 ‘김성완의 시사夜’의 ‘불금의 교양학’에 출연 중. 저서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품’ ‘말술남녀’가 있음.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