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년 만에 이름 찾은 '5·18 무명 열사' 신동남 씨

민소운 2021. 6. 15. 21: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5·18 묘역에 잠들어 있는 '무명 열사' 1명의 신원이 41년 만에 확인됐습니다.

DNA 분석 등을 통해 확인된 무명 열사는 당시 서른 살 나이로 총상을 입고 숨진 고 신동남 씨입니다.

민소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립 5·18 민주묘지 한편에 이름도, 사진도 없이 5기가 안장된 '무명 열사의 묘역'.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해 말 DNA를 채취한 3구의 시신 가운데 한 명의 신원을 당시 30살의 신동남 씨로 확인했습니다.

고 신동남 씨는 1980년 5월 20일 광주역 인근에서 계엄군의 총에 맞아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수술 중 숨졌습니다.

이후 병원에 안치돼 있던 시신은 다른 가족의 착각으로 장례까지 치렀지만 뒤늦게 잘못된 줄 알고 무명열사의 묘로 옮겨 놓은 겁니다.

자칫 묻힐 뻔했던 신동남 씨의 신원은 자료 더미에 쌓여 있던 광주 적십자병원의 진료 기록과 사망자 명단을 재차 확인하는 과정에서 밝혀졌습니다.

[유족/고 신동남 씨의 동생 : "제가 그 당시 나이가 12살 정도 돼 가지고, 이제 형님 유해를 찾았으니까 잘 모셔야죠.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1993년 가족이 행방불명자 신청을 했지만 이듬해 기각돼 불인정 행방불명자로 남아 있었던 신 씨.

지난해 출범한 조사위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면서 첫 현장일정으로 진행했던 행불자 찾기가 성과를 낸 겁니다.

[송선태/5·18진상규명조사위원장 : "민주화 운동 관련 행방불명자의 규모와 소재를 확인하고, 나아가 사망자들에 대한 보다 치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조사위는 지난 연말 무명열사 묘에서 DNA를 채취한 다른 2기에 대한 신원확인 작업도 이어 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소운입니다.

민소운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