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맥킨지 "韓 원자력 줄고 석탄·가스 비중 커..2030년 온실가스 목표 어렵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확정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 전기요금이 24%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원자력 발전을 줄여 석탄과 가스 발전 비중이 클수밖에 없는 탓에 2030년 전환부문(전력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어렵다는 진단도 나왔다.
이어 전력부문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해선 "석탄발전기의 연간 석탄발전량 상한에 제한을 두는 석탄상한제 도입을 추진 중이며, 제도가 시행되면 감축 목표를 확실하게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17년 대비 17% 상승 전망.."송배전 비용 계산 달라"
"2050 탄소중립은 가능..단, 100% 전기차 전환 등 필수"
산업통상자원부 "석탄상한제 도입하면 감축 목표 이행 가능"
반면 정부는 9차 전력계획 공청회에서 2030년까지 전기요금 인상 폭을 2017년 대비 10.9%로 예상했다. 우드맥킨지는 이런 차이에 대해 발전 비용에 대한 예측은 한국 정부와 비슷하지만, 송배전 비용 등을 다르게 계산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력 및 재생에너지 부문 아태지역 책임자인 알렉스 휘트워스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전력망 자체에 대한 투자가 늘어야 한다”며 “일부 유럽 국가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0%가 되면서 전기료가 두 배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고, 24% 인상도 어느 정도 합리적인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우드맥킨지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투자가 지난해 58억달러에서 2030년까지 연간 89억달러로 증가하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2030년 38%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목표는 34%로 이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정부가 설정한 2030년 전력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휘트워스는 “원전 비중을 낮추는 동시에 석탄·가스 발전 등 화석연료 사용을 충분히 줄이지 못하면서 전력 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30년까지 2억5100만t으로 작년보다 7%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30년 전력부문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1억9300만t으로 설정하고 있다.
우드맥킨지는 그러면서도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은 가능할 걸로 예상했다.
아태지역 시장 및 이행 전략 부문 책임자인 프라카쉬 샤르마는 “저탄소 수소,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소형 원자력, 배터리 기술 등을 활용하면 2050년 탄소중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 2050년까지 화석연료 비중을 50% 아래로 낮추고 수송 부문을 100% 전기차로 전환해야 가능하단 전제 조건을 달았다. 수소 수요를 2050년까지 1200만t으로 늘려야 한다고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우드맥킨지의 견해에 대해 “송배전망을 어디에 어떻게 구축할지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비용을 정확하게 추산하긴 어렵다”며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 등을 통해 송배전망 추가 비용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력부문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해선 “석탄발전기의 연간 석탄발전량 상한에 제한을 두는 석탄상한제 도입을 추진 중이며, 제도가 시행되면 감축 목표를 확실하게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고준혁 (kotaeng@edaily.co.kr)
Copyright©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카드 더 긁으면 최대 30만원 돌려준다…與, 캐시백 부양책 추진
- 日닛케이 "스가, G7서 文에 직접 메시지 전달했어야"
- 류현진-김광현, 동반 QS 호투...코리안에이스 자존심 지켰다
- 길거리서 모르는 여성 성폭행 시도 20대…잡고 보니 '수배 중'
- 반디앤루니스 운영 서울문고, 16일 최종 부도 처리
- 50인 미만 사업장 주52시간제 계도기간 연장없다…“현장 안착 지원”
- “왜 장애인은 최저임금 적용 안 되나요?”…장애인들 국회 앞 농성
- 새벽 폭행신고 받고 출동했더니…노래방서 '술판'
- '친형 고소' 박수홍 "내일 이사.. 처음부터 다시 시작"
- [단독]'도로위 도시' 신내컴팩트시티 지구계획 승인…내년 착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