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신언서판

파이낸셜뉴스 2021. 6. 15. 19: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양 한자문화권에서는 사람을 뽑을 때 신언서판(身言書判)을 따졌다.

외모와 언변, 글씨와 판단력을 보고 골랐다.

글씨를 보면 그 사람의 인품과 기상, 깊이와 창의성을 알 수 있다면서 명필가를 우대했다.

그러나 같은 붓글씨를 한국에서는 서예라고 한 반면 중국은 서법, 일본은 서도라고 규정할 정도로 동양 3국의 정신문화는 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7년 4월 야당을 이끌었던 홍준표 의원부터 현 이준석 대표까지 보수야당 대표의 방명록. 야당의 당면과제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는 점과 함께 갈수록 악필이라는 것이 눈길을 끌었다. /사진=뉴스1
동양 한자문화권에서는 사람을 뽑을 때 신언서판(身言書判)을 따졌다. 외모와 언변, 글씨와 판단력을 보고 골랐다. 현대적 의미에서도 통한다. 외모가 빼어난 이는 육체가 건강하고 자기관리를 철저히 한다. 언변이 좋으면 설득과 소통에 능하다. 글을 잘 쓰면 생각을 조리 있게 정리할 수 있다. 판단력은 통섭력과 위기관리력으로 이어진다.

글씨를 보면 그 사람의 인품과 기상, 깊이와 창의성을 알 수 있다면서 명필가를 우대했다. 7세기 당나라에서 시작한 과거제도는 글짓기와 글쓰기 위주의 인재 채용이었다. 글이 곧 사람이라고 여길 정도였다. 외모와 언변은 경계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같은 붓글씨를 한국에서는 서예라고 한 반면 중국은 서법, 일본은 서도라고 규정할 정도로 동양 3국의 정신문화는 달랐다.

조선 서예의 최고봉 추사 김정희는 죽기 전에 "칠십 평생 벼루 열개에 구멍을 냈고, 붓 천 자루를 닳도록 썼다. 하지만 내 글씨는 아직도 부족하다"는 회한을 남겼다. 자신의 글씨에 만족하지 못했다. 글씨는 뼈를 깎는 고통의 산물이다. 주로 옛 글씨를 베끼면서 익혔다. 추사체도 모방에서 얻은 창조였다.

36세, 0선의 제1 야당 당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일거수일투족이 시중의 관심사다. 따릉이 자전거 출근에 이어 대전 현충원 방명록에 남긴 글씨가 논란이 됐다. 이 대표는 지난 14일 "내일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은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다소 소심하고 삐뚤빼뚤한 손글씨를 남겼다.

현충원 참배와 방명록 작성은 우리 사회의 상징적 정치 현장이다. 큰 꿈을 품은 정치인과 공직자에게 서예는 기본이었다. 이 대표의 손글씨는 기성 정치인들의 준비된 필체와는 달랐다.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한 젊은이다운 디지털 필체였다. 네티즌들은 이를 문제 삼는 사람들의 꼰대적 사고를 공격했다. 이제 글씨도 세대전쟁이다. 1300년 동안 인재채용의 기준이었던 신언서판은 여전히 유용한가 아니면 버려야 할 유산인가.

joo@fnnews.com 노주석 논설위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