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imbap politics (KOR)

2021. 6. 15. 19: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emphasized its "one team"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In his acceptance speech, DP leader Song Young-gil said that the party will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s "one team." The DP has far more young politicians than the PPP, but no notable figure or remarks appeared from those first-term lawmakers. President Moon met with 68 first-time DP legislators on June 3 and stressed the one-team spirit and "winning support by uniting internally and expanding externally."

화합과 공존을 상징하는 비빔밥은 정치권 단골메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ibimbap is a popular dish among politicians as it symbolizes harmony and co-existence. At the end of the Grand National Party presidential primary in 2007, Lee Myung-bak, Park Geun-hye, Won Hee-ryong and Hong Joon-pyo are..

PARK HAE-RI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planning team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Bibimbap is a popular dish among politicians as it symbolizes harmony and co-existence. At the end of the Grand National Party presidential primary in 2007, Lee Myung-bak, Park Geun-hye, Won Hee-ryong and Hong Joon-pyo are bibimbap. As the opposition party was divided into the pro-Lee and pro-Park faction, party chairman Kang Jae-sup came up with the idea to promote unity.

Five days before the 20th parliamentary election in 2016, ruling Saenuri Party head Kim Moo-sung held an emergency election committee meeting and ate bibimbap. He meant to appeal to the voters by repenting the embarrassing factional dispute and demonstrating unity.

Since President Moon Jae-in was inaugurated in May 2017, bibimbap was the dish of choice for luncheon meetings at the Blue House with National Assembly floor leaders. In 2018, a “five-color bibimbap” representing the five party colors was offered. It was reportedly hard to find minty greens to represent the Bareunmirae Party. Bibimbap was also served at Moon’s most recent meeting with the five party leaders on May 26 at the Blue House.

Lee Jun-seok, a 36-year-old political rookie, has become the youngest leader of the conservative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He presented his “bibimbap theory” as his first message. “What I like to stress the most is co-existence. Bibimbap looks most delicious when more than 10 toppings are on the rice while maintaining their unique taste and color. I don’t want to imagine grinding and mixing all the ingredients together.”

I find this over-used bibimbap theory refreshing because the bibimbap spirit hasn’t been that popular in Yeouido recently. At the party leadership election, Na Kyung-won, a former PPP floor leader who came in second place, emphasized the “melting pot.” A melting pot is more about fusing and mixing rather than co-existing.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emphasized its “one team”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In his acceptance speech, DP leader Song Young-gil said that the party will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s “one team.” The DP has far more young politicians than the PPP, but no notable figure or remarks appeared from those first-term lawmakers. President Moon met with 68 first-time DP legislators on June 3 and stressed the one-team spirit and “winning support by uniting internally and expanding externally.”

The PPP’s Lee Jun-seok wants to be the sauce that brings flavor to different ingredients. Can his bibimbap theory help bring a new trend to Yeouido?

비빔밥 박해리 정치국제기획팀 기자

화합과 공존을 상징하는 비빔밥은 정치권 단골메뉴다.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경선 막바지에 이명박·박근혜·원희룡·홍준표 후보는 비빔밥 오찬회동을 가졌다. 대선후보 자리를 놓고 친이-친박으로 당이 극심하게 나뉘자 강재섭 당 대표가 화합을 꾀하며 내놓은 아이디어였다.

2016년 20대 총선 5일 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긴급 선거대책위원회를 열고 회의 석상에서 비빔밥을 먹는 퍼포먼스를 보였다. 공천과정에서 드러난 친박·비박 계파 갈등의 부끄러움을 반성하고 화합된 모습으로 국민에게 투표를 호소하는 의미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여야 원내대표 청와대 오찬회동 메뉴로 비빔밥을 내놓았다. 2018년에는 각 당 상징색으로 만든 '오색 비빔밥'을 내놓기도 했다. 당시 바른미래당의 상징인 민트색 나물을 준비하느라 애를 먹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가장 최근 있었던 지난달 26일 5당 대표회동 메뉴 역시 비빔밥이었다.

최연소 보수당 대표가 된 이준석 대표는 '비빔밥론'을 취임 첫 메시지로 제시했다. “제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은 공존입니다. 비빔밥이 가장 먹음직스러운 상태는 때로는 10가지가 넘는 고명이 각각의 먹는 느낌과 맛, 색채를 유지하면서 밥 위에 얹혀있을 때입니다. 비빔밥 재료를 모두 갈아서 먹는 느낌은 생각하기도 싫습니다.”

정치사에 새로울 것 없는 이 비빔밥론이 신선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최근 여의도에서 당내 비빔밥 정신을 외치는 이가 드물기 때문이다. 이번 당대표 선거에서 2위에 그친 나경원 후보는 용광로 정당을 강조했다. 모든 것을 녹이는 용광로는 비빔밥 같은 공존보다는 융합과 섞임에 방점이 찍혀있다.

민주당은 21대 국회 출발부터 ‘원팀’을 강조해왔다. 앞서 당 대표가 된 송영길 대표는 당선 수락연설서 “원팀으로 대선 승리하겠다”고 외쳤다. 청년 정치인이 야당보다 훨씬 더 많은 여당에서 이렇다 할 눈에 띄는 인물도, 발언도 나오지 않는 이유는 이런 당의 기조와 무관치 않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일 민주당 초선의원 68명과의 만남에서도 “내부적으로 단합하고 외연을 확장할 때 지지가 만들어진다”며 원팀 정신을 재차 강조했다.

재료를 맛깔나게 하는 고추장이 되겠다는 30대 당수 이준석. 과연 그가 외치는 비빔밥론은 여의도에 새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까?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