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살아야 우리도 산다"..극장·IPTV, '모가디슈' 등에 혜택

김기중 2021. 6. 15.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극장과 유료방송업계가 영화시장 정상화 위해 올여름 개봉하는 한국영화 2편을 파격 지원한다고 밝혔다.

극장업계와 유료방송업계는 지원작으로 선정한 두 편의 영화 외에도 한국영화 개봉작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은 한국영화 대작이 개봉해야 극장을 찾는 관객의 발길이 늘어나고, 영화 시장도 정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업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총제작비 50% 회수 보장..기존 분배율에 +20% 더 주기도
영화 ‘로가디슈’ 스틸컷.

극장과 유료방송업계가 영화시장 정상화 위해 올여름 개봉하는 한국영화 2편을 파격 지원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침체한 영화 시장이 백신 접종과 함께 차츰 살아나는 상황을 기회 삼아 놓치지 않겠다는 의도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협회인 한국상영관협회와 한국IPTV방송협회, 케이블TV VOD 업체들은 ‘모가디슈’와 ‘싱크홀’에 대한 지원책을 15일 밝혔다. 이 영화들은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들로, 극성수기인 여름 시즌에 관객을 많이 모을 것으로 예상하는 ‘텐트폴’ 영화들이다.

극장 업계는 영화 총제작비의 50%까지 회수를 보장한다. 통상적으로 영화티켓 매출을 극장과 배급사 측이 반반씩 나눠갖는다. 그러나 두 영화에 대해서는 총제작비 50%에 이르는 매출을 우선으로 배급사에 지급한다. 제작비가 많이 든 영화가 흥행에 실패했을 때 입게 될 손실을 일정 부분 책임지겠다는 뜻이다.

유료방송업계도 힘을 보탰다. 극장 상영 후 TV에서 곧바로 상영하는 영화에 대해 기존 분배율을 넘어선 매출의 80%를 배급사 측에 지급하기로 했다. 배급사에 지급하는 정산금보다 최대 20% 정도 더 많은 금액이다. 극장업계와 유료방송업계는 지원작으로 선정한 두 편의 영화 외에도 한국영화 개봉작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은 한국영화 대작이 개봉해야 극장을 찾는 관객의 발길이 늘어나고, 영화 시장도 정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업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영화진흥위원회의 중재로 극장업계, 유료방송업계, 배급업계는 앞서 여러 차례 회의를 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