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신용자 파고드는 인터넷은행·빅테크..무기는 '대안 신용평가'

임현우 2021. 6. 15. 17: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터넷은행과 빅테크(대형 IT 기업) 플랫폼은 개인대출 시장에서 중·저신용자와 신파일러(thin filer: 금융이력이 부족한 사람)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인터넷은행들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오는 9월 문을 여는 토스뱅크도 전체 대출의 30~40% 이상을 중·저신용자에 내주기로 했다.

최근 1조원대 증자에 성공한 케이뱅크도 신용평가모형을 가다듬어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은행과 빅테크(대형 IT 기업) 플랫폼은 개인대출 시장에서 중·저신용자와 신파일러(thin filer: 금융이력이 부족한 사람)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기존 은행들이 선뜻 돈을 빌려주지 않았던 이들에게 과감하게 대출을 내주는 데는 ‘대안 신용평가’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인터넷은행들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9일 ‘중신용 대출’ 상품의 최저 금리를 연 4.45%에서 2.98%로 내리고, 최대 한도는 7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렸다. 대출 심사에는 2017년 출범 이후 쌓아온 금융거래 자료에 통신사 납부 내역, 머신러닝(기계학습) 기법 등을 더한 새로운 신용평가모형을 활용한다. 김광옥 카카오뱅크 부대표는 “신용점수 820점 이하에 대한 신용평가 변별력이 높아졌다”고 했다. 올 하반기엔 휴대폰 소액결제 이력과 개인사업자의 매출 자료를, 내년부터는 카카오 계열사의 비금융 정보도 반영한다.

오는 9월 문을 여는 토스뱅크도 전체 대출의 30~40% 이상을 중·저신용자에 내주기로 했다. 토스 이용자가 연결해둔 금융·비금융 정보와 신용평가(CB)회사의 자료를 종합해 자체 신용평가모형을 개발했다. 최근 1조원대 증자에 성공한 케이뱅크도 신용평가모형을 가다듬어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