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산화탄소 잡아내 활용' 기술개발 박차.."연간 1000억원 투자"

이정호 기자 2021. 6. 15. 17: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개념 및 CCU 기술혁신 로드맵 범위.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공장이나 발전소 등의 굴뚝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잡아내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2025년까지 선진국 대비 90% 기술력을 확보하고, 2030년에는 CCU 기술로 만든 시멘트 등 상용 제품을 내놓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연간 1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임혜숙 장관이 주재하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CCU 기술혁신 로드맵’ 등의 안건을 처리했다고 발표했다.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탄소배출을 근본적으로 줄이는 노력과 함께 불가피하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처리하는 CCU 기술이 필요하다. 이산화탄소를 적게 만들거나 아예 만들지 않는 공정이 폭넓게 자리잡기 전까지 이왕 만들어지는 이산화탄소의 대기 방출을 최대한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도 이 기술로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630만t을 감축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문제는 CCU 기술 대부분이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고 아직 상용화도 불확실해 민간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관계부처 합동으로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 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한 ‘CCU 기술혁신 로드맵’이 수립된 것이다.

이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현재 미국 등 선진국 대비 80% 수준인 CCU 기술경쟁력을 2025년까지 9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2030년까지는 시멘트, 탄화수소 등 14개 CCU 상용 제품을 내놓는다. 2040년까지는 기존 석유계 제품에 상응하는 시장가 수준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59개 중점기술을 선정해 지원에 나선다. 대상이 되는 기술은 2030년까지 빠르게 상용화가 가능한 것과 중장기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눠서 지원의 효율을 높인다. 이 같은 노력을 통해 현재 이산화탄소 1t당 60~70달러 수준인 포집 비용을 오는 2050년에는 20달러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정부 연구개발(R&D) 투자도 강화된다. 연 1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위한 사업이 2023년부터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2010~2019년 이산화탄소 포집과 활용, 저장을 위한 정부 R&D 규모는 모두 4600억원이었는데, 이는 애초 계획의 절반에 불과했다. 앞으로는 투자 규모를 키우겠다는 뜻이다. 이밖에도 정부는 각 사업장에서 CCU 기술을 통해 줄인 이산화탄소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마련하고 기술개발과 보급, 국제협력 등에서 필요한 업무가 누락되지 않도록 참여부처를 확대하기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제적으로 CCU 기술이 이산화탄소 감축의 주요 수단으로 제시되는 만큼 이번 ‘CCU 기술혁신 로드맵’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실현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힘쓰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