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오늘 12명 추가 감염..초중고생 4명 포함

엄기찬 기자 2021. 6. 15. 17: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북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2명 더 늘었다.

청주 확진자 중 4명은 노래방 연쇄감염 사례다.

충주에서는 자동차부품공장 집단감염 확진자가 1명 더 늘었다.

충북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청주 1332명, 충주 303명, 진천 341명 등 3174명으로 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주 8명, 충주·진천 각 2명..누적 3174명
도민 57만4502명 1차 이상 백신접종 완료
15일 충북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12명이 추가됐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청주=뉴스1) 엄기찬 기자 = 충북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2명 더 늘었다. 생활 깊숙이 파고든 코로나19가 동시다발 번지는 양상이다.

노래연습장을 매개로 한 연쇄감염 등 소규모 집단감염의 여진이 계속되는 데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전염됐는지 알 수 없는 경로불명 감염도 속출했다.

15일 충북도에서 따르면 이날 오전 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청주 8명, 충주 2명, 진천 2명으로 모두 12명이다.

청주 확진자 중 4명은 노래방 연쇄감염 사례다. 확진된 노래방 도우미와 접촉했던 30대가 자가격리 해제를 앞두고 받은 검사에서 확진됐다.

접촉자로 분류돼 자가격리 중이던 3명이 증상발현으로 양성판정을 받았다. 이들은 노래방 관련 n차 감염 사례다. 10대 미만 초등학생 1명, 30대 1명, 40대 1명이다.

지난 2일 첫 감염이 확인된 노래방 연쇄감염 확진자는 업소 이용자 30명, 도우미 15명, 업주·접촉자 25명을 비롯해 70명으로 늘었다

전날까지 직원 4명이 확진된 청주의 한 제약회사 관련 n차감염 사례도 나왔다. 확진 직원을 접촉한 중학생이 감염됐다. 이곳 관련 확진자는 5명이 됐다. 이 제약회사에서는 지난 12일 경로불명의 증상발현으로 직원 1명이 확진되더니 이어진 접촉자 검사에서는 동료 3명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경로가 불분명한 감염 사례도 이어졌다. 기침과 몸살 증상이 있었던 20대 외국인과 그의 지인인 30대 외국인이 나란히 확진됐다.

또 지난 13일부터 인후통과 오한 증상이 나타나 검사를 받은 40대 역시 확진됐다. 그의 감염경로 또한 불분명하다.

진천에서도 초등학생 1명과 고등학생 1명이 확진됐는데, 경로불명의 증상발현 감염 사례다. 둘 다 지난 14일부터 두통과 발열 증상이 있어 검사를 받았다.

방역당국과 교육당국은 초등학생은 지난 11일까지, 고등학생은 지난 14일까지 등교한 사실을 확인하고 교내 접촉자 조사와 함께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충주에서는 자동차부품공장 집단감염 확진자가 1명 더 늘었다. 이곳에 다니는 30대 외국인 직원 1명이 확진됐다. 이 업체 관련 확진자는 17명이 됐다.

나머지 충주 확진자 1명은 안양시 확진자와 접촉한 20대다. 그는 자신이 다니는 대학에서 전날 확진자가 나오면서 접촉자 검사를 받았다.

충북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청주 1332명, 충주 303명, 진천 341명 등 3174명으로 늘었다. 전날까지 69명이 숨졌고, 2911명이 완치돼 격리에서 해제됐다.

백신접종은 이날 오후 4시까지 57만4502명이 1차 이상의 접종을 마쳤다. 1~2차 접종을 모두 완료한 인원은 11만8487명(얀센 2만138명 포함)이다.

이상반응 신고는 1197건으로 사망 17건을 포함해 중증 사례는 45건이다. 나머지는 백신접종 뒤 흔히 나타나는 발열, 근육통, 메스꺼움 사례다.

사망 사례 16건 중 5건은 백신접종과 인과관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는 질병관리청이 인과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sedam_0815@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