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섬유..패션이 선택한 착한 길

2021. 6. 15. 17: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패션은 지금 ‘지속 가능성’이 화두다. 패션 업체는 플라스틱을 엄청나게 생산 유도하는 곳이 되어 버린 것도 사실이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을 재생해 사용하는 디자인에 열을 올리고 있다.

재생 플라스틱으로 만든 옷이 패션계 화두다. 모두들 폐 플라스틱을 재생해 원사를 짜는 방법을 연구하고 그런 업체와 협약을 맺느라 바쁘다. 물론 아직까지는 기존의 원사에 비해 돈이 많이 든다. 업체도 적고 희소성이 있어서다. 하지만 모두 같은 방향을 보고 있으니 곧 수요 공급의 원칙에 따라 이 분야의 발전도 눈부실 것이다.

그렇다면 왜 트렌드 분석과 디자인 디테일에 열중해야 할 패션 업체들이 플라스틱 재활용 연구에 매진하는지 것일까. 결국 그건 우리가 입는 옷의 많은 부분이 플라스틱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맞다. 그 썩지 않고 남아 지구를 뼛속까지 괴롭힌다는 그 플라스틱. 천연 섬유를 제외한 합성 섬유는 플라스틱에서 뽑아낸 섬유다. 그러다 보니 알게 모르게 패션 업체는 플라스틱을 엄청나게 생산 유도하는 곳이 되어 버린 것도 사실이다. 세상 모든 사람이 순면만 입고 살 수 없다면 패션 업체는 이 악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그래서 발의된 것이 버려진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리사이클 원사, 재활용 섬유다.

폐 플라스틱으로 만든 소재인 ‘팔리 오션 플라스틱’을 사용한 아디다스 팔리 스니커즈
하지만 이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세상에 아직 많지 않다. 팔리 오션 플라스틱Parley Ocean Plastic™이나 바이오닉Bionic 등에 세계 유수의 브랜드가 러브콜을 보내며 줄을 서는 이유다. 수년 전부터 패션계에는 이 같은 리사이클 원사를 이용한 상품을 디자인하거나 아예 컬렉션을 펼치는 곳이 생겨났는데, 최근 팬데믹의 영향으로 범지구적 친환경 라이프가 일상이 되자 눈에 띄게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제냐Zegna는 ‘오늘의 행동이 쓰레기 없는 내일을 만든다’는 기치로 재활용 플라스틱 병으로 제작한 컬렉션이 포함된 ‘#UseTheExisting’을 선보인다. 유명 슈즈 브랜드 아쉬Ash 역시 ‘RE/ASH’ 컬렉션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한 소재를 사용한 신발을 선보인다. 리사이클 소재의 이름 자체가 유명해진 경우도 있다. 바로 해변에 버려진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든 ‘팔리 오션 플라스틱’이다. 세계적인 해양 환경 보호 단체인 팔리Parley는 플라스틱 폐기물로 만든 합성 소재 대체재를 개발해 전 세계 브랜드들의 러브콜을 한몸에 받고 있는데, 아디다스는 이 소재로 팔리 컬렉션을 꾸준히 펼치면서 전 세계인에게 재활용 소재에 관한 홍보를 펼치고 있다.

패션계가 풀어야 할 숙제도 있다. 이 리사이클 소재는 친환경, 제로 웨이스트라는 목표 때문에 추구할 수 있는 디자인이 매우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모든 소재를 친환경 소재로(예를 들면 비건 가죽 같은)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건 어마어마한 투자와 긴 연구 기간을 요하는 지난한 길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현재 그 길을 추구하고 있고 눈부신 성과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당장은 플라스틱 재활용 원사로 만든 패션 상품은 한동안 꽤 미니멀한 디자인을 추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화려한 장식과 부자재는 친환경, 제로 웨이스트란 추구성과 결이 다르고, 그 디테일에 온전히 걸맞은 리사이클 소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뭣보다 친환경이라는 거룩한 목표는 재기 발랄한 트렌드보다는 순수하고 선한 의지를 먼저 쫓는 게 당연하기 때문이다.

[글 한희(문화평론가) 사진 아디다스]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784호 (21.06.22)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티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