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 24∼26일 개최..'지속가능 평화·포용적 번영' 모색

김동현 2021. 6. 15. 14: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역내 다자협력 논의의 장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2001년 출범한 제주포럼이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제주도에서 열린다.

포럼을 주관하는 제주평화연구원의 한인택 원장은 15일 포시즌스호텔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제16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비전과 계획 등을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반기문 전 유엔총장 등 세계 지도자 참석
2020년 11월 5일 서귀포 롯데호텔 제주에서 열린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15회 제주포럼' 사진 [제주포럼 사무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역내 다자협력 논의의 장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2001년 출범한 제주포럼이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제주도에서 열린다.

포럼을 주관하는 제주평화연구원의 한인택 원장은 15일 포시즌스호텔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제16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비전과 계획 등을 설명했다.

올해 포럼은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도전과 위협에 대해 논의하고, 현세대뿐 아니라 미래세대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공동의 대응을 모색하는 게 목표다.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기후변화, 자원고갈, 환경파괴, 강대국 간 갈등, 국지적 군사 충돌, 사이버 공격 등 다양한 위기가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복합위기 시대에 이번 포럼의 대주제인 '지속가능한 평화와 포용적 번영'을 이루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논의는 세계 지도자, 노벨상 수상자, 각계 전문가와 활동가 등이 참여하는 80여 개 세션을 통해 진행된다.

세션에서는 자국 우선주의로는 복합위기를 극복할 수 없으며 다자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발신할 전망이다.

주요 세션으로는 파리기후협약의 주역인 프랑수아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제이 인슬리 워싱턴 주지사와 기후변화 대응책에 대해 토의한다.

빈곤 문제 연구로 2019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아브히지트 바네르지 교수가 불평등과 포용적 번영에 대한 생각을 소개한다.

1991년 제주도에서 열린 한·소련 정상회담을 돌아보며 세계평화의 섬으로서 제주의 역할을 진단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현 주한대사들이 참여하는 외교관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이스라엘의 주한대사들이 중동의 평화조약과 한반도에 가지는 함의에 대해 논한다.

일본, 프랑스, 인도, 호주, 싱가포르 주한대사들의 생각을 듣는 자리도 준비됐다.

한국에 거주하는 미얀마인 유학생, 노동자 등으로 구성된 '행동하는 미얀마 청년연대'도 참여해 미얀마 상황을 알리고 국제 연대를 촉구할 계획이다.

올해 포럼도 방역 상황을 고려해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며 모든 세션을 유튜브로 생중계한다.

bluekey@yna.co.kr

☞ 박서준 '캡틴 마블2' 합류설…어떤 역 맡나?
☞ "고양이 14마리 버리고 가" 신고한 집주인 알고보니 세입자?
☞ '아마존 대박 K명품' 김정숙 여사가 준비한 선물 보니
☞ 영장 기각되자 또 女화장실 쫓아 들어간 30대 이번엔…
☞ "멜로에 아쉬움 많았다" 70세 고두심, 지현우와 연인으로
☞ 창문 틈으로 여성 불법촬영하던 30대…눈 딱 마주쳤다
☞ 연쇄살인 용의자 집에 뼛조각 4천개…경찰 아내도 희생
☞ "북한도 이 정도로 미치진 않았다" 탈북 유학생의 일갈
☞ 출근 첫날부터 회삿돈 슬쩍…9개월간 5억 빼돌린 경리
☞ "유명해지면 겪는다는 페라가모"…이준석, 국산신발 공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