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인학대 전담기관 4개 권역 확대..경찰 합동점검도

우태경 2021. 6. 15. 14: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나이 아흔여덟의 A(여)씨는 아들의 행패에 견디다 못해 지난해 12월 밖에다 도움을 요청했다.

기관의 직원은 A씨 가정을 방문해 심리 상담을 진행했고, 아들에게는 알코올중독 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도록 했다.

노인학대를 전담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은 올해 하반기까지 4곳으로 확대된다.

지난해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노인학대 판정 사례는 677건으로, 2017년 440건에서 매년 증가하는 등 각 기관은 과부하 상태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 노인학대 677건..매년 증가 중
노인보호전문기관 4개 권역으로 확대
서울경찰청 등과 7월 고위험 가구 합동점검도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나이 아흔여덟의 A(여)씨는 아들의 행패에 견디다 못해 지난해 12월 밖에다 도움을 요청했다. 기초생활수급비로 어렵게 생활을 꾸리던 그였지만, 술 살 돈을 요구하며 난동을 피우는 아들을 감당할 수 없었다. 욕설과 폭언은 물론, 폭력까지 행사하는 날이 늘어나자 서울남부노인보호전문기관을 찾아 자초지종을 풀어놨다. 기관의 직원은 A씨 가정을 방문해 심리 상담을 진행했고, 아들에게는 알코올중독 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도록 했다. 그로부터 반 년, 아들은 술을 끊었고 집안엔 평화가 찾아왔다. 모자 관계가 달라진 것은 물론이다.

서울시가 노인학대 예방의 날(15일)을 맞아 노인학대 전담 기관을 늘리고 관계 기관의 공동대응 체계 강화를 골자로 하는 노인학대 예방대책을 내놨다.

노인학대를 전담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은 올해 하반기까지 4곳으로 확대된다. 현재 서울에는 남부, 북부, 서부 3곳에 있지만, 동부에 기관을 추가해 권역별 대응 체계를 갖추게 된다. 시 관계자는 “이에 따라 1개 기관이 맡은 자치구 수가 현재 8~9개에서 앞으로 5~7개로 줄어든다”며 “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노인학대 판정 사례는 677건으로, 2017년 440건에서 매년 증가하는 등 각 기관은 과부하 상태였다.

전문기관 확대와 함께 재발 우려가 높은 고위험 가구를 대상으로 서울경찰청, 노인보호전문기관이 다음 달까지 합동 점검을 실시한다. 노인 학대의 94.8%가 가정 내에서 발생한다는 통계에 따라, 선제 예방에 나선 것이다. 고위험 가구는 노인보호전문기관 또는 경찰에 두 번 이상 신고가 된 경우다. 시와 경찰은 비상설 실무협의제도 운영, 협업 효과를 끌어올리기로 했다.

촘촘한 사례 관리를 위해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와의 협업도 강화한다. 그동안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만 학대 사례를 관리했지만, 가정을 방문해 어르신을 돌보는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를 통해서도 사후 관리를 시작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시 관계자는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 재학대 위험이 큰 가구를 선별하면,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가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 문제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공유하는 식”이라고 말했다.

우태경 기자 taek0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