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미디어 - 음원서비스 테마, 지니뮤직 +4.39%, TJ미디어 +3.09%

C-Biz봇 2021. 6. 15. 11: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음원서비스는 인터넷사이트, 휴대폰, 테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으로 음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국내 디지털 음원서비스 주요 사업자로는 지니뮤직의 '지니', 카카오의 '멜론', 드림어스컴퍼니의 'FLO' 등 3사가 시장점유율 과반을 차지.

B2C는 멜론과 같은 음원서비스로, 이용자에게 유료로 음원을 제공하는 것.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미디어 - 음원서비스]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1.79% 상승세이다. 지니뮤직(043610) +4.39%, TJ미디어(032540) +3.09%, NHN벅스(104200) +0.97%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3줄 요약▷ 음원서비스 매출은 B2B와 B2C로 발생..상위 음원서비스 사업자 B2B 유통 점유율↑▷ 마케팅비 증가, 음원 저작권료 상승, 스트리밍 시장 경쟁 심화는 성장 우려 요인▷ 온라인 음악유통업 매출 연평균 9%대 성장..멀티 디바이스 확대로 수요 지속 증가 전망

음원서비스는 인터넷사이트, 휴대폰, 테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으로 음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국내 디지털 음원서비스 주요 사업자로는 지니뮤직의 '지니', 카카오의 '멜론', 드림어스컴퍼니의 'FLO' 등 3사가 시장점유율 과반을 차지. 닐슨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2020년 11월 기준 멜론 34%, 지니뮤직 23%, FLO 16% 차지.

음원 매출은 B2B와 B2C로 발생. B2C는 멜론과 같은 음원서비스로, 이용자에게 유료로 음원을 제공하는 것. B2B는 음원 제작에 투자해 일정기간 해당 음원의 유통에 관한 독점적 권리를 보장받고, 이를 다른 음원서비스 업체에게 판매하는 것. 2020년 가온차트 연간 400위권 음원 기준 카카오M(37.5%), 드림어스컴퍼니(15.9%), 지니뮤직(15.1%) 순으로 B2B 음원 유통 점유율을 기록.

한국음반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음원 유통 수익 배분 구조는 다운로드 시 52.5%(음반제작자) : 11%(저작권자) : 6.5%(실연자) : 30%(서비스사업자) 이며, 스트리밍 시에는 48.25%(음반제작자) : 10.5%(저작권자) : 6.25%(실연자) : 35%(서비스사업자)로 분배.

음원서비스업체들은 각각의 음원 사이트를 운영하지만 저작권료에 대한 배분율은 같으므로 매출 및 수익성은 업체들의 브랜드 인지도, 마케팅 전략, 서비스 경쟁력, 가격 정책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음.

마케팅비 증가와 음악 저작권료 상승, 국내 스트리밍 시장 경쟁 심화 등은 성장 우려 요인. 글로벌 1위 음원서비스 업체 스포티파이는 2021년 2월부터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 또 유튜브 뮤직은 국내 음원 스트리밍 시장점유율 14%(2020년 11월 닐슨 코리안클릭 기준)로 단숨에 올라서며 매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한편,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0 음악산업백서'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음원 유통업 매출액은 2018년 기준 전년 대비 5.6%, 2016년부터 3년간 연평균 9.9%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옴. AI스피커, 커넥티드 카 등의 멀티 디바이스가 확대되면서 디지털 음원서비스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기대.

(마지막 업데이트 2021.06.11)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지니뮤직(043610) +4.39% 주주는 KT(36.2%), CJ ENM(15.4%), LGU+(12.7%) 등 구성. B2B(기업간거래) 고객은 통신사(KT, LGU+), B2C(기업과소비자간거래)는 '지니'를 통해 가입. 유통부문은 CJ ENM의 음악을 국내외 음악서비스 사업자에게 유통 대행. 2020년 기준 국내 음원/음반 유통사 점유율은 각각 15%로, 12%. (20201.3.31 기준, 출처: 분기보고서)
TJ미디어(032540) +3.09% 업소·가정용 노래반주기 국내 1위 업체로 음악콘텐츠 부문(반주 음악 데이터 제작)과 음원 IC 부문(음원 IC 개발 및 판매), 엔터테인먼트 사업 등도 영위. (20201.3.31 기준, 출처: 분기보고서)
NHN벅스(104200) +0.97% '벅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디지털음원 서비스 업체. 국내 1위의 인터넷 음악방송 '세이케스트' 운영. (20201.3.31 기준, 출처: 분기보고서)
드림어스컴퍼니(060570) -1.29% 음원 플랫폼 FLO 서비스 운영. 1대 주주는 SK텔레콤이며, 2대 주주는 SM엔터테인먼트와 JYP엔터테인먼트. SM과 JYP로부터 확보한 유통권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 2020년 드림어스컴퍼니의 음반 시장 점유율은 54%, 음원시장 점유율은 15% 기록. (20201.3.31 기준, 출처: 분기보고서)

미디어 - 음원서비스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15.82%
1개월 등락률 +15.31%
1주 등락률 +11.86%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