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방류하면 북미까지 영향권..미 시민단체도 '반대 서한'

최우리 2021. 6. 15. 11: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70여개 시민단체들이 일본 정부에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서한을 보냈다.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저지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핵없는 세상을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Manhatten Project for a Nuclear-Free World)' 등 미국의 시민단체 70여 곳에서 세계 환경의 날(6월5일)과 세계 해양의 날(6월8일)을 맞이해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는 공동서한을 미국 뉴욕 일본 영사관과 주 유엔 일본 대표부를 통해 일본 외무성과 경제산업성에 보냈다고 15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일본 외무성과 경제산업성에 반대 서한 보내
후쿠시마서 방류하면 북미 서해안에 닿아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IPPNW)’ 독일지부 소속 의학박사 카트야 괴벨스가 오염수 방류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70여개 시민단체들이 일본 정부에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서한을 보냈다.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저지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핵없는 세상을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Manhatten Project for a Nuclear-Free World)’ 등 미국의 시민단체 70여 곳에서 세계 환경의 날(6월5일)과 세계 해양의 날(6월8일)을 맞이해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는 공동서한을 미국 뉴욕 일본 영사관과 주 유엔 일본 대표부를 통해 일본 외무성과 경제산업성에 보냈다고 15일 밝혔다.

이들이 보낸 공동서한 내용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 결정을 철회하고 △일본 및 국제 사회의 오염수 방류 반대 목소리를 수렴하고 △‘처리수’와 같은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지 말고 △저장 탱크 증설과 같은 대안을 마련하고 △방사성 물질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도 제거될 수 없다는 사실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삼중수소의 위험성을 인정하고 △오염수와 사고 원전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기적 공청회 실시와 시민사회 및 전문가의 참여를 보장하라는 8가지 요구안을 전달했다.

일본과 인접하지 않은 미국 시민단체들도 한국 환경단체들처럼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 목소리를 내는 데에는 해류를 타고 북태평양을 건너 캐나다나 미국의 서쪽 해안에도 오염수가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13년 원자력연구원은 후쿠시마 사고 때 방출된 세슘(Cs)-137이 해류를 타고 북쪽으로 올라가 북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 4~5년 만에 한국 해역까지 유입될 것으로 분석했다. 장기간 광범위하게 희석돼 실제 유입량은 검출가능농도 미만일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지만, 오염수에 들어있는 방사능물질의 총량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안전성 문제를 완전히 해결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환경단체들은 강조해왔다.

공동행동은 지난 4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을 하자 지난달 26일 지역, 생협, 종교, 노동, 어업인, 시민사회 등 각계각층이 함께 꾸린 한국 단체들의 연대체이다. 공동행동에 참여 중인 환경운동연합의 송주희 에너지기후활동가는 “이번 서한 발송은 한국 환경단체들의 반대 목소리에 아시아를 너머 미국 단체들도 연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맨하튼 프로젝트는 2012년 3월 뉴욕 맨해튼에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의 위험 및 인도주의적 영향에 대해 우려하는 시민, 전문가, 법조인 등이 탈핵 촉구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