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현대의 밀당..하나로 뒤섞인 춤판

장병호 2021. 6. 15.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머리 위에 가채를 얹고 70㎝ 길이의 긴 비녀를 단정하게 꽂은 국립무용단 단원 송지영이 은박을 소재로 만든 풍성한 치마를 입고 연습실 한 가운데 섰다.

비녀를 뽑아 손에 들고 추는 우아한 춤사위는 한국의 미로 가득했다.

'산조'는 다양한 장단과 가락이 모이고 흩어지는 전통 기악양식인 산조(散調)의 미학을 춤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제목처럼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춤과 음악이 하나로 흩어졌다 모여지며 절제되면서도 세련된 춤을 만들어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습으로 미리 본 국립무용단 신작 '산조'
'묵향' '향연' 정구호 연출 참여로 기대감
최진욱·임진호 안무, 산조의 정신 춤으로
"한국무용의 새로운 현대적 모습 만날 것"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머리 위에 가채를 얹고 70㎝ 길이의 긴 비녀를 단정하게 꽂은 국립무용단 단원 송지영이 은박을 소재로 만든 풍성한 치마를 입고 연습실 한 가운데 섰다. 모두가 숨 죽인 가운데 장구 반주가 시작되자 절제된 동작으로 춤을 추기 시작했다. 비녀를 뽑아 손에 들고 추는 우아한 춤사위는 한국의 미로 가득했다.

국립무용단 ‘산조’의 연습 장면(사진=국립극장)
국립무용단이 4년 만의 대형 신작으로 관객을 찾는다.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이는 ‘산조’다. ‘묵향’ ‘향연’ 등으로 국립무용단과 좋은 시너지를 보여준 패션 디자이너 정구호가 연출을 맡아 기대가 높은 작품이다. ‘산조’를 최근 국립극장 뜰아래연습실에서 연습 장면으로 미리 만났다.

‘산조’는 다양한 장단과 가락이 모이고 흩어지는 전통 기악양식인 산조(散調)의 미학을 춤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국립무용단 수석단원을 거쳐 현재 경기도무용단 상임안무가로 활동 중인 최진욱이 안무를 맡고 현대무용단 고블린파티의 공동안무가 임진호가 협력 안무로 참여한다.

제목처럼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춤과 음악이 하나로 흩어졌다 모여지며 절제되면서도 세련된 춤을 만들어냈다. 송지영의 독무로 막을 여는 1막 ‘중용’은 전통 산조의 음악과 춤사위를 잘 보여준다. 독무에 이어 무대 바닥 위로 미끄러지듯 등장하는 남녀 무용수들이 길게 뻗은 양손으로 만들어내는 움직임은 마치 잔잔한 물결처럼 정적인 미를 느끼게 한다.

2막 ‘극단’부터 작품 분위기는 180도 달라진다. 현대무용가이자 작곡가이기도 한 김재덕과 그래미 수상에 빛나는 프로듀서 황병준이 만든 전자음악부터 그렇다. 무용수들은 40㎝에서 2m까지 다양한 길이의 막대를 들고 나와 통일된 몸짓부터 제각각 다른 춤까지 무대를 확장해 나갔다.

마지막 3막은 ‘중도’다. 1막이 전통 그대로의 산조를, 2막이 현대적인 느낌의 산조를 보여준다면 3막은 이를 통해 만들어낸 새로운 형식의 산조를 관객에 소개한다. 신디사이저 음악에 맞춰 보여주는 장구 없는 장구춤처럼 전통 춤의 기존 틀을 지키면서도 변화를 주는 이색적인 무대를 만날 수 있다. 아쟁 소리에 맞춰 빙글빙글 도는 무용수들의 마지막 춤이 오랜 여운을 남긴다.

국립무용단 ‘산조’ 콘셉트 이미지(사진=국립극장)
‘묵향’ ‘향연’이 기존 전통춤을 옴니버스식으로 구성해 현대적인 포장으로 보여주는 작업이었다면, ‘산조’는 즉흥적이면서도 형식적인 산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새로운 형태의 춤으로 보여준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최진욱, 임진호 안무가는 “산조는 전통음악이지만, 즉흥성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선 현대적인 면도 있다”며 “한국적인 움직임과 현대적인 움직임, 한국음악과 현대음악이 ‘밀당’하듯 하나로 섞이는 과정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공연에선 무대 위 지름 6m 크기의 대형 바위 세트와 원형 LED 패널 등 관객을 압도하는 비주얼을 보여줄 예정이다. 새단장한 해오름극장의 ‘몰입형 입체 음향 시스템’을 활용한 이머시브 사운드도 ‘산조’의 관전 포인트다. 정구호 연출은 “기대하는 이상의 비주얼도 있지만, 그럼에도 안무가 가장 잘 보이는데 연출의 초점을 뒀다”며 “한국무용의 새로운 현대적인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무용단 ‘산조’의 연습 장면(사진=국립극장)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