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주변 건물 해체계획서도 '부실·엉터리'

박민철 2021. 6. 14. 21: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 사고가 난 건물은 재개발 철거대상 11개 가운데 마지막 동이었습니다.

앞서 철거된 다른 건물들의 해체계획서는 어땠는지 들여다 봤더니 일부 내용만 조금씩 바꾼 수준의 거의 똑같은 부실 보고서였습니다.

먼저 박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9명의 사망자를 낸 붕괴 건물을 포함해 사고 현장 주변 철거 대상은 모두 11개 동이였습니다.

하지만 작업의 기초가 되는 해체계획서는 단 한 부.

이마저도 부실하고 형식적이었습니다.

학동 4구역 건물 11개 동의 해체계획서는 150쪽 분량으로 돼 있는데요.

우선 철거 건물의 주소와 면적, 층수 등 일반적인 현황을 소개하는 내용이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현장 안전 계획이 담긴 건 4쪽에 불과한데요.

내용을 더 들여다보겠습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철거 현장 주변 안전 관리라는 포괄적인 내용만 담겨있을 뿐 건물 개별 특성을 고려한 대책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사고 건물의 경우 도로변 버스 정류장과 가까웠지만 이에 대한 대비책은 고려대상이 아니었습니다.

철거 계획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1개 건물에 대한 공사 전 점검 사항과 공사 순서, 철거 공법 등이 마치 복사해서 붙여 넣은 것처럼 다 똑같습니다.

[이상원/구조기술사 : "건물은 형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구조 형식도 다르고, 건물별로 해체계획서를 작성하는 게 맞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이번에는 좀 미흡한 부분이 있어요."]

정부 기준도 맞추지 못했습니다.

주변 보행자 통행과 차량 이동 상태를 조사했다고는 했지만 무엇을 어떻게 점검했는지 결과는 빠져 있습니다.

붕괴 방지 대책과 지지대 운용 계획 등 해체계획서에 반드시 담겨야 할 내용도 없습니다.

국토부가 고시를 통해 필수적으로 작성하도록 한 항목이 40여 가지나 되지만 지키지 않은 겁니다.

[광주광역시 동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구청 공무원들이 철거 계획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해요. 그래서 현재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감리한테 검토 의견을 받았고요."]

사실상 하나의 계획서를 통해 10개 건물은 일괄 해체됐지만, 결국 마지막 단계에서 사고가 났고, 큰 인명피해로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훈

박민철 기자 (mcpark@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