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거래소에 "상장폐지·유의종목 코인 리스트 달라"

김우영 기자 2021. 6. 14. 20: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당국이 투자 위험이 큰 상장폐지·유의종목 가상화폐에 대해 관리에 나섰다.

지난 주말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30개 코인을 갑자기 무더기로 상장폐지 또는 유의종목으로 지정하면서 투자자들의 불만이 커졌기 때문이다.

당국이 상장폐지·유의종목 지정 코인을 직접 파악하기 시작한 배경에는 최근 업비트가 무려 30개 코인을 한꺼번에 상장폐지·유의종목으로 지정한 영향이 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투자 위험이 큰 상장폐지·유의종목 가상화폐에 대해 관리에 나섰다. 지난 주말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30개 코인을 갑자기 무더기로 상장폐지 또는 유의종목으로 지정하면서 투자자들의 불만이 커졌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오후 20여개 가상화폐 거래소에 지난 7일부터 오는 16일까지 상장 폐지됐거나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코인 명단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장 동향 파악 차원”이라며 “거래소에 앞으로도 상장폐지나 유의종목 지정이 결정된 사항을 공유해달라고 부탁했다”고 설명했다.

14일 가상화폐 거래소인 서울 빗썸 강남센터 시세 현황판에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 가격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당국이 상장폐지·유의종목 지정 코인을 직접 파악하기 시작한 배경에는 최근 업비트가 무려 30개 코인을 한꺼번에 상장폐지·유의종목으로 지정한 영향이 컸다. 업비트는 앞서 지난 11일 오후 5시 30분 고객센터 공지를 통해 “마로(MARO), 페이코인(PCI), 옵져버(OBSR), 솔브케어(SOLVE), 퀴즈톡(QTCON)의 원화 마켓(시장) 페어 제거(상장폐지)를 안내해 드린다”고 발표했다.

업비트는 같은 시각 코모도(KMD), 애드엑스(ADX), 엘비알와이크레딧(LBC) 등 25가지 코인을 ‘유의 종목’으로도 지정했다. 업비트는 이들 코인의 유의 종목 지정 사유에 대해 “팀 역량 및 사업, 정보 공개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 역량, 글로벌 유동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내부 기준에 미달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상장폐지·유의종목 지정 결정에 당시 관련 코인 가격이 급락했고 투자자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업계에선 당국이 투자위험이 큰 이른바 ‘잡코인’을 더 꼼꼼히 들여다보겠다는 포석으로 해석했다. 앞으로 각 거래소의 잡코인 정리 작업은 더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은행 실명계좌 발급과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관련 신고 과정에서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 종류가 많을수록 ‘위험 관리’ 차원에서 감점 가능성이 큰 만큼, 거래소들은 업비트와 마찬가지로 거래 코인 수를 계속 줄여나갈 전망이다.

특히 거래소가 자체 발행했거나, 거래소 관련 코인들이 1순위 정리 대상이 될 전망이다. 금융위는 최근 가상자산 사업자(가상화폐 거래소) 등이 자체 발행한 가상자산의 매매·교환을 중개하거나 알선하는 행위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사업자나 임직원이 자전거래, 통정·가장매매, 고가·저가 주문, 허수주문 등으로 시세 조종할 가능성을 막겠다는 것이다.

업비트가 지난 11일 마로(MARO)와 페이코인(PCI)을 상장폐지 대상에 포함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마로(MARO)는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관계사 ‘두나무앤파트너스’가 투자한 코인이다. 다날이 발행한 페이코인(PCI)도 두나무와 관련이 있다. 두나무의 주요 주주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의 지분을 다날 자회사 다날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