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탈지노믹스, 유럽혈액학회서 CG-806 임상 1상 발표

장윤서 기자 2021. 6. 14. 17: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혈액암 치료제 '룩셉티닙'(CG-806)의 임상 1a·b상 중간 결과를 지난 11일(현지 시각) 유럽혈액학회(EHA 2021)에서 포스터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룩셉티닙(CG-806)은 비의존적 돌연변이 'BTK·FLT3' 저해제다.

임상 결과, 여러 주기에 걸쳐 150mg에서 600mg까지 하루 2회 경구 투약(BID)한 모든 용량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혈액암 치료제 ‘룩셉티닙’(CG-806)의 임상 1a·b상 중간 결과를 지난 11일(현지 시각) 유럽혈액학회(EHA 2021)에서 포스터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룩셉티닙(CG-806)은 비의존적 돌연변이 ‘BTK·FLT3’ 저해제다. 임상 1a·b상은 재발성 또는 난치성 B세포 림프종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최소 2종의 표준치료법 투약 후 재발 및 내성이 발생했거나, 내약성문제로 더 이상 다른 치료제 대안이 없는 말기의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소림프구성림프종(SLL) 비호지킨림프종(NHL)을 포함한다.

임상 1차 목적은 룩셉티닙의 안전성 및 내약성 평가, 임상2상 최적 용량을 확정하기 위함이다. 2차 목적은 약동학·약력학 및 항종양 활성의 예비 증거를 평가하는 것이다. 임상 결과, 여러 주기에 걸쳐 150mg에서 600mg까지 하루 2회 경구 투약(BID)한 모든 용량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B세포 악성종양 대상 임상에서는 CLL에서 발생하는 림프구 증가증을 표적할 수 있는 다수 핵심 종양 표적(BTK 포함)과 경로를 강하게 억제했다. 여러 종의 암에서 종양 크기 감소를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NHL 중 하나인 소포림프종(FL) 환자의 경우 450mg 투여 시 종양 크기가 커졌지만, 600mg로 용량이 증가하면서 종양 크기가 최고치 대비 43%나 감소하는 용량 의존적 효능이 관찰됐다. 750mg 용량에서 희귀 혈액암의 일종인 왈덴스트룀 마크로클로불린혈증(WM) 환자의 ‘IgM’ 감소를 확인했다. 750mg 코호트 경우 고혈압의 용량제한독성(DLT)이 한 차례 발생했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룩셉티닙은 전반적으로 모든 코호트 및 다양한 암종에서 좋은 내약성을 보여, 향후 추가적 용량증가 및 장기간 약물 노출을 통해 치료전력이 많아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약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크리스탈지노믹스는 급성골수성백혈병(AML) 대상 임상 1a·b상도 진행 중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