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엔 자연스러운 '노조'..정년 아닌 공정한 보상 원해

세종=양종곤 기자 2021. 6. 14. 09: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의 한 관계자는 지난 3월 중순 삼성전자 사내 익명 게시판에 올라온 '누운 문자 이모티콘'이 담긴 글을 보고 깜짝 놀랐다.

사람인 관계자는 "MZ세대는 노동자의 권익도 보상과 과정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인 관계자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하던 시대의 직장인은 고용 안정성이 화두였다"며 "저성장과 치열한 경쟁에 놓인 MZ 세대는 자원 배분의 공정성과 현재의 보상에 더 민감하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인, 862명 직장인 설문
81% "노조 필요"..보상 중시
지난 3월 중순 삼성전자 사내 게시판에 올라온 ‘누운 문자’ 이모티콘.
[서울경제]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의 한 관계자는 지난 3월 중순 삼성전자 사내 익명 게시판에 올라온 ‘누운 문자 이모티콘’이 담긴 글을 보고 깜짝 놀랐다. ‘사측이 개선하지 않는다면 드러눕겠다’는 주장을 글보다 재치 있는 이모티콘 하나로 설명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모티콘이 담긴 글들은 수십여 개가 이어졌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어떤 구호와 장황한 비판의 글보다 인상 깊었다”며 “젊은 세대와 어떻게 노조를 이끌어야 하는지 많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올해 초 ‘MZ세대(밀레니얼+Z세대·1980~2000년대 출생)’ 대기업 사무직을 중심으로 한 노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직장인의 한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 분위기다. 이들은 기존 노조가 추구한 정년 보장과 같은 권익 보다 공정한 성과 보상을 더 원하고 있다.

14일 사람인이 지난달 11~14일 MZ세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노조의 필요성에 대해 묻자, 80.6%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노조가 필요한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조직문화 개선’이 60.1%로 1위 였다. 이어 ‘열악한 노동조건 개선’이 52.5%, ‘불합리한 관행 타파’가 51.2%, 성‘과 평가 및 보상체계 논의’가 50.1%, ‘임금격차 완화’가 45.6%다. 기존 제조업 노조가 늘 외치던 ‘정년 보장 등 고용안전성 유지’가 26.9%에 그친 게 눈에 띈다. 노조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설문에서도 69.1%가 개‘인 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 마련’을 꼽았다. ‘정년 보장’은 30.9%로 이 답변의 절반에 머물렀다. 사람인 관계자는 “MZ세대는 노동자의 권익도 보상과 과정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경향은 MZ 세대가 직장에 바라는 점에 대한 설문에서도 엿볼 수 있다. 회사에 바라는 것을 묻자 1위는 ‘공정한 성과 보상 제도’로 47.1%였다. 퇴사 충동을 느끼는 상황에 대해서도 31.1%는 ‘성과에 대한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를 꼽았다. 사람인 관계자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하던 시대의 직장인은 고용 안정성이 화두였다”며 “저성장과 치열한 경쟁에 놓인 MZ 세대는 자원 배분의 공정성과 현재의 보상에 더 민감하다”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ggm11@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