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뛰는 심장 박동 소리 삶과 죽음의 경계를 묻다

박성준 2021. 6. 13. 2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인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 재연
뇌사한 청년의 심장 이식 24시간 추적
실제 이식수술 과정을 고스란히 재현
다시 뛰는 심장.. 생명의 경이에 감탄
2019년 국내 초연 멤버들 그대로 뭉쳐
단 한명이 집도의부터 간호사까지 연기
고통받는 가족의 내면 생생하게 전달
‘삶을 사랑하는 열아홉 청년이 뇌사 상태가 된다. 그의 심장은 죽음이 예정돼 있던 50대 심장질환자에게 이식된다.’ 단 두 줄로 압축되나 삶과 죽음 사이에서 생겨난 여러 갈래 이야기가 섞인다.

연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는 뇌사한 청년 심장이 이식 수술로 다른 이 가슴에서 다시 뛸 때까지 24시간을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추적한다. 1967년 첫 수술이 시행된 후 지금은 우리나라에서도 매달 열 건 이상(2020년 173건) 이뤄지는 심장 이식. 병원 바깥에선 큰 관심거리가 아니지만, 그 현장에선 매번 고통과 갈등 끝에 어려운 선택이 이뤄진다. 수술실에선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온몸에 피를 내보내는 생명의 경이가 그 실체를 드러낸다.

◆시몽의 심장

연극 원작은 프랑스 작가 ‘마일리스 드 케랑갈’의 동명 장편소설. 시적인 문체가 돋보이는 베스트셀러로 작가에게 주요 문학상을 11개나 안겨줬다. 이를 다시 각색가 에마뉘엘 노블레가 100분 분량 일인극으로 각색해서 2015년 초연했다. 이번 공연은 연출 민새롬, 주연 손상규·윤나무 등 2019년 국내 초연 멤버 거의 그대로 다시 뭉친 두 번째 무대다.

LED 배경과 조명, 그리고 탁상과 의자가 거의 전부인 단출한 무대는 열아홉 청춘 시몽 랭브루의 새벽 서핑으로 시작한다. 해설자를 포함해 앞으로 무려 열여섯 명을 연기할 배우는 친구들과 함께 파도를 타기 위해 추운 바다에 뛰어드는 시몽의 아름다운 청춘과 생명력을 서핑 연기로 보여준다. 불규칙한 파도에 올라타는 서핑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삶과 비슷하다. 서핑 후 친구가 모는 차에 탄 시몽은 교통사고를 당한다. 배우는 어느 순간 숱한 사고를 목격한 교통경찰이 되어서 건조하게 사건 개요를 설명한다. 앞 유리창에 머리를 세게 부딪히며 뇌 손상을 입은 시몽은 병원으로 옮겨진다. 병원에서 그를 맞는 건 연인과 함께 밤을 보낸 후 새벽 출근한 간호사와 밤샘 근무로 지친 응급실 의사. 시몽 뇌 활동이 정지한 것을 확인한 의사는 장기 이식으로 이어질 절차를 시작한다.
◆코디네이터의 원칙

담담하게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전개되던 극 전개는 시몽 어머니가 등장하면서 마치 3인칭에서 1인칭 시점으로 전환하듯 몰입하게 된다. 아들이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었다는 통보를 받고, 어머니는 아직 그 사실을 모르는 남편에게 전화를 건다. 그 고통스러운 상황은 “다른 시공간의 목소리여서 너무 낯설다. 모든 일이 일어나기 전의 세계에서 온 목소리. 그녀의 역할은 그를 이 세계로 끌어오는 일”이라는 해설로 간명하나 충분히 전달된다. 병원에서 부부가 만나 포옹하며 무너지는 장면은 일인극인데도 그토록 생생한 건 훌륭한 연기 덕분이다.

이후 극을 이끌어가는 배역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 토마 레미주. 매번 큰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 가족에게 어려운 이야기를 해야 하는 이의 내면을 배우는 침착하게 객석에 전달한다. “중요한 것은 부모님 생각이 아니라 시몽이 살아있었다면 어떤 생각이었을까입니다.” 의사, 코디네이터, 그리고 시몽의 부모 넷이 모인 장면에선 합리를 추구해온 나라 프랑스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만든 장기 이식 제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론과 현실을 자막까지 동원해 보여준다. 프랑스는 사전에 장기 기증을 거부한다는 명단에 등록하지 않은 이는 별도 절차 없이도 장기 적출이 가능하다는 법 조항이 있다. 그런데도 토마는 가족 동의를 원칙으로 삼는다. 그리고 이런 가족 면담의 현실은 삼 분의 일이 이식 거부로 끝난다고 한다.
서핑을 즐기던 청년 시몽의 심장이 다른 이에게 가서 뛰기까지 24시간을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보여주는 일인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 프로젝트그룹 일다 제공
◆생명의 잠재력, 심장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가 보여주는 최고의 장면은 수술실이다. 강렬한 빛과 손짓만으로 메스가 인체를 가르고, 심장을 둘러싼 동맥과 정맥을 자르는 모습을 선명하게 만들어낸다. 뛰어난 원작을 연극이 더욱 빛낸다. 새로운 배역은 쉬지 않고 등장한다. 장기이식센터 베테랑 직원과 통화 끝에 시몽 심장을 받기로 한 심장이식수술 권위자는 자신의 환자에게 전화를 건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삶’을 살던 오십대 심장질환자는 “오늘 밤 수술이니 바로 병원으로 오라”는 통보를 받고 기쁨보다는 타인의 심장을 받는 무거움에 압도된다.

마지막 주인공은 이탈리아 출신 수련의 브리질리오다. 민새롬 연출은 다른 어느 배역보다 브리질리오를 생생한 인물로 만들어내는 데 공들였다. 섬세함과 체력을 모두 가진 최고의 심장외과의 재목이다. 야망이 큰 만큼 우쭐대는 면도 있으나 미워하기 힘든 캐릭터다. 수술 욕심 많은 브리질리오는 상사 지시로 시몽이 누워있는 병원으로 가서 심장을 적출한다. 시몽이 죽음을 맞이하는 마지막 순간은 엄청난 파도소리가 극장을 꽉 채운다. 교통정체를 뚫고 브리질리오는 병원에서 공항, 다시 병원으로 이어지는 길을 달린다.

마지막은 심장질환자의 혈액 순환을 외부 기계가 맡고, 고장 난 심장을 들어낸 후, 새 심장을 넣고, 전기 자극으로 다시 뛰게 하는 실제 심장 이식 과정을 고스란히 재현한다. 여유 있게 수술 상황을 통제하는 고참 집도의, 어려운 수술에 참여할 기회를 잡은 수련의, 쉴 새 없이 수술도구를 건네며 집중해야 하는 간호사, 그리고 처음 보는 놀라운 광경에 압도된 인턴 몫까지 단 한 명의 배우가 돌아가며 연기하는데 마치 눈앞에서 현장을 보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짧은 기다림 끝에 심장이 다시 뛰는 장면은 일상에서 잊고 살았던 심장의 무게, 그리고 생명의 경이를 느끼게 해준다. 심장은 생명의 잠재력이다. 국립정동극장에서 6월 27일까지.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