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위기가구' 미리 찾아내 돕는다

류인하 기자 2021. 6. 13. 0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 주민센터-고시원 '가맹점' 업무협약 맺은 까닭

[경향신문]

서초3동에 법정복지대상자
337가구 중 1인 가구 249명
고시원 입실자 위험징후 땐
주민센터에 연락, 복지 지원
부동산중개소·슈퍼마켓 등
5년간 ‘가맹점’ 144곳 운영

서울 서초구가 ‘가맹점’ 확보에 나서고 있다. 다만 이 가맹점은 편의점과 같은 통상의 가맹점과 다르다.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좋은이웃 가맹점’이다. 최근엔 서초3동 관내 고시원 3곳이 가맹점이 됐다.

서초구는 지난 2일 서초3동 주민센터와 관내 고시원 3곳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양측의 업무협약 내용을 보면, 고시원은 입실자 중 경제·건강상 위험징후를 발견하면 동주민센터에 즉시 알리고, 위기가구의 입실허용을 적극 검토하는 한편 복지서비스 관련 홍보물도 비치한다.

동주민센터와 구는 발굴된 위기가구에 대해 상담을 거쳐 사회복지급여를 신청하고, 공적지원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나 복지네트워크 등을 통한 민간지원도 적극 연계한다. 또 알콜중독이나 정신질환, 가족·일자리 등 복합문제 발견 시 사례관리대상자로 선정해 집중관리할 예정이다.

서초3동은 법원·검찰청이 몰려 있는 일명 ‘법조단지’로 알려져 있지만 이곳에도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정책 대상자들이 살고 있다. 서초3동의 올 5월 기준 법정복지대상자는 총 337가구로, 이 중 249가구가 1인 가구다. 고시원 거주자는 55명이다. 이들 고시원 거주자의 75%는 50~60대 중장년 남성으로 조사됐다.

구 관계자는 “교대역 주변 고시원은 교대생들 위주였지만 코로나19 이후 대학생 입실자는 감소하고, 일정 수입이 없는 중장년 거주자들이 늘어났다”며 “이들은 입실비조차 제대로 납부하지 못하는 등 경제적 취약계층으로 전락하는 사례들이 많아 고시원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초구는 2017년부터 ‘좋은이웃 가맹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고시원, 부동산중개업소, 약국, 슈퍼마켓 등 지역사정에 밝은 생활밀착형 업소를 통해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것이다. 각 업소에서 위기가구를 발견, 동주민센터에 신고하면 동주민센터가 확인 후 공적지원 및 민간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실례로 잠원동의 한 ‘좋은이웃 가맹점’ 부동산중개사무소는 사무실을 찾아온 50대 남성 고객을 동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자와 연결해주기도 했다. 이 남성은 당시 사무소를 찾아 “저렴한 반지하 월셋방을 찾는다. 그런데 그 돈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개사무소는 남성의 동의를 얻어 동주민센터 담당자에게 연락을 했고, 이 남성은 주거지원 등을 받을 수 있었다. ‘좋은이웃 가맹점’은 현재 관내 144곳이며, 구는 올해 하반기까지 300곳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지역사정을 잘 아는 생활밀착형 업소와 긴밀히 협조해 숨은 취약계층을 찾아내는 촘촘한 복지망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