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만성질환자, 다리 붓고 심하게 저리다면..

권대익 2021. 6. 12. 10: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심장과 뇌 혈관은 길이가 짧아 이상이 생기면 곧장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복부대동맥에서 말초 혈관에 이르는 팔다리 혈관은 매우 길어서 협착이 생겨도 이상 증상을 곧바로 알아채기 어렵다.

대표적인 대동맥 질환인 대동맥류(大動脈瘤ㆍaortic aneurysm)는 지속적으로 혈관이 늘어져 파열될 때까지 큰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

팔다리 혈관인 말초 혈관 질환도 긴 혈관으로 인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돌연사 위험 높은 '동맥 말초 혈관 질환'  가능성
비만과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앓고 있는 50대 이상 만성질환자는 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기에 정기적으로 혈관 기능 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심장과 뇌 혈관은 길이가 짧아 이상이 생기면 곧장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복부대동맥에서 말초 혈관에 이르는 팔다리 혈관은 매우 길어서 협착이 생겨도 이상 증상을 곧바로 알아채기 어렵다.

이들 혈관이 막혀 다리가 붓고 저리며 걷기 힘들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생겨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혈관 질환이 상당히 악화됐을 때가 대부분이다.

안형준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는 “복부 대동맥에서 허벅지와 무릎 이하 발목ㆍ발등ㆍ발가락 등에 퍼져 있는 말초 혈관 질환은 고령화 및 각종 만성질환으로 생긴 동맥경화가 상당히 오랜 기간에 걸쳐 협착ㆍ폐색 등을 일으킨다”고 했다.

안 교수는 “특히 동맥이 늘어나는 동맥류, 동맥이 막히는 동맥 폐색 등은 대동맥 파열과 다리 괴사 이전까지 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심각한 상황이 될 때가 많다”고 했다.

대표적인 대동맥 질환인 대동맥류(大動脈瘤ㆍaortic aneurysm)는 지속적으로 혈관이 늘어져 파열될 때까지 큰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 혈관이 막혀 괴사를 일으키는 대동맥 폐색도 마찬가지다.

환자 대부분은 당뇨병ㆍ고혈압ㆍ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하고 있어 이들 질환을 치료하다가 우연히 발견될 때가 많다. 팔다리 혈관인 말초 혈관 질환도 긴 혈관으로 인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동맥경화로 인한 혈전이 말초 혈관 안에 쌓이면서 걷지도 못할 정도의 저림ㆍ보행장애 등을 초래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야 비로소 환자가 병원을 찾게 된다.

가장 기본적인 혈관 질환 진단법은 초음파검사다. 혈관 초음파 검사로 막힌 병변을 확인하고 혈관 구조를 영상 및 해부학적으로 파악한다. 추가로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병변을 재확인한다.

환자의 혈관 기능 소실 여부를 정확한 수치로 제시하는 혈관 기능 검사도 중요하다. 환자의 혈관 상태와 기능을 정확히 계량해 수술 외 약물 치료, 스텐트, 풍선확장술 등 다른 치료를 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형준 교수는 “대부분의 혈관 질환은 응급 환자”라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동맥 파열로 집에서 목숨을 잃거나 응급실에 오더라도 수술 도중 사망하기도 한다”고 했다.

흡연하고 비만ㆍ당뇨병ㆍ고혈압ㆍ이상지질혈증 등 각종 만성질환을 동반한 50~60대 이상 고령층은 정기적으로 초음파검사로 혈관을 체크해야 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