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기자들Q] 오보의 상처..'주홍글씨' 못 지우는 정정보도

홍석우 2021. 6. 12. 1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정보도 받아봤자 별 소용없습니다. 또 기사를 쓸까 무섭기도 하고요. 기사가 나오지 않았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네요." 수화기 너머로 인터뷰를 거절한다는 음성이 또 들려왔습니다.

이 분들은 기사의 주요 내용이 진실과 달라 언론중재위원회나 재판을 거쳐 어렵게 '정정보도' 결정을 받았습니다.

언론중재법 제2조에 따르면 '정정보도'는 내용의 일부나 전부가 진실이 아닌 기사를 고쳐서 보도하는 개념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오보의 상처...주홍글씨 못 지우는 정정보도

"정정보도 받아봤자 별 소용없습니다. 또 기사를 쓸까 무섭기도 하고요. 기사가 나오지 않았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네요." 수화기 너머로 인터뷰를 거절한다는 음성이 또 들려왔습니다.

이 분들은 기사의 주요 내용이 진실과 달라 언론중재위원회나 재판을 거쳐 어렵게 '정정보도' 결정을 받았습니다.

어렵게 인터뷰에 응한 분들이 공통적으로 증언하는 건 "오보 크기만큼 동일하게 정정보도를 해달라"는 겁니다. 피해를 증언한 세 사례의 경우는 모두 인터넷에서의 '단독' 기사였고, 사실 확인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막상 내가 당해보니 알겠더라"라고 합니다.

제목도 바뀌지 않은 채 장문의 원래 기사가 남아있고, 말미에 짧게 '바로잡습니다'라고 나와봤자 최초 오보의 낙인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겁니다.

인색한 정정보도..."300자 미만이 74%"

'질문하는 기자들 Q'의 이번 회차 주제는 언론의 인색한 '정정보도' 관행입니다.

언론중재법 제2조에 따르면 ‘정정보도’는 내용의 일부나 전부가 진실이 아닌 기사를 고쳐서 보도하는 개념입니다. 제15조에는 같은 채널이나 지면 등 원래 보도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고 적혀있습니다.

오보가 나면 고쳐서 원래 기사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잘 게재하라는 게 법의 취지입니다.

실제로 언론사들은 '정정보도'를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질문하는 기자들 Q는 올해 1월부터 5개월 동안 10개 종합지와 3개 주요 경제지에 나온 '정정'이나 '반론'보도를 살펴봤습니다.

94건이 파악됐습니다. 이 가운데 74% 가량이 300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과에도 인색했습니다. 단 10건 만이 사과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59건은 자체 수정이 이뤄졌습니다. 자체 수정은 평균 3일이 소요됐고, 대부분 표기 오류 등 단순 실수였습니다.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이나 재판을 거친 35건의 기사는 최초 보도에서 정정이나 반론까지 30일에서 120일이 소요됐습니다. 백신 수급 문제 등 대부분 사회적 파장이 큰 기사들이었습니다. 최초 기사의 제목이 바뀌지 않는 경우도 여러 건 발견됐습니다.

요즘은 인터넷 공간에서 잘못된 기사가 곳곳에 퍼지는 2차 피해도 심각합니다.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는 "지금의 미디어 환경에선 자극적인 제목으로 뽑아서 조회수를 올리는데 더 집중한다든지 하니까 피해 확산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며 "2차 피해가 훨씬 더 주홍글씨로 피해자들에게 다가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정정을 잘 하는 게 언론인의 자존심"

질문하는 기자들 Q의 자문을 맡고 있는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는 우리 언론이 '정정보도'에 인색한 이유를 크게 4가지로 진단했습니다.

홍원식 교수의 분석

1. 하이에나 저널리즘 : "보도 대상이 약점을 보이면 비판의 명분을 앞세워 물어뜯는 보도 행태가 문제" "비판 목적만 강조하다보니 사실 확인 소홀....그 과정에서 뜻하지 않게 피해자가 발생"
2. 낙인 찍지 말아야 : "언론사들이 선입견적으로 누가 잘못을 저질렀다고 낙인을 찍어놓고 집중적으로 비판을 하다보니, 나중에 잘못된 사실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더라도 정정하지 않거나 반론 충분히 담지 않아"
3. 말뿐인 동일성 원칙 : "동일한 채널, 동일한 지면 통해 동일 효과 발생하는 정정보도가 법의 원칙....그런데 합의 과정에서 축소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
4. 과도한 '단독' 경쟁 : "언론사들이 단독 보도를 통해 상을 받는 건 자랑스럽게 생각...잘못을 인정하는 것은 치욕이라고 생각" "오보시 보도 경위를 설명하고 사과를 한 뒤 대안 제시가 중요"

이러한 언론의 관행을 두고 징벌적 손해배상이나 기사 삭제권 등 여러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홍 교수의 결론은 언론인들의 직업적 자존심을 지키자는 것이었습니다.

홍 교수는 "오보에 대해 정정을 잘하는 건 자존심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 척도"라며 "소송이나 언론중재위원회 때문에 정정하는 게 아니라 사실을 전달하는 언론인이기 때문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질문하는 기자들 Q'는 오는 13일(일) 밤 10시 35분에 KBS 1TV에서 방송됩니다. 김솔희 KBS 아나운서가 진행하고,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홍석우 KBS 기자가 출연합니다.

방송은 '질문하는 기자들 Q' 의 KBS 홈페이지와 유튜브 계정을 통해 다시 볼 수 있습니다.

홍석우 기자 (musehong@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