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50% "최대 금융리스크는 코로나 아닌 가계부채"

강한빛 기자 2021. 6. 11. 14: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업계 관계자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리스크로 '가계의 높은 부채'를 꼽았다.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 대내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46%)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현시점에서 시급한 과제로는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조치 정상화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다수를 차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한국은행
금융업계 관계자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리스크로 '가계의 높은 부채'를 꼽았다.

한국은행은 11일 '2021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한은은 지난 5월10일부터 25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주요 금융전문가 총 8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 대내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46%)으로 조사됐다. 직전 조사인 지난해 12월엔 최대 리스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가능성'이 꼽혔다. 

뒤를 이어 ▲코로나19 재확산·백신접종 지연 가능성(37%) ▲부동산시장 불확실성(29%)이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고 대외요인으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37%)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과 급격한 조정(34%) ▲미중갈등 심화(34%) 등이 지목됐다.

고용·가계 소득 부진(38%→ 20%)과 자영업자 업황 부진(32% → 20%)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지만 응답 비중이 작년보다 줄었다.

응답자들은 1년 이내의 단기적인 리스크로 ▲코로나19 재확산과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과 급격한 조정을 꼽았다.

1~3년 중기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이 지목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작년 12월 조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해 ▲매우 높음(4%) ▲높음(53%) ▲보통(42%) 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전체의 99%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현시점에서 시급한 과제로는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조치 정상화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다수를 차지했다.

[머니S 주요뉴스]
'♥오창석' 이채은 결혼해?… 웨딩드레스 뒤태가 '헉'
이마에 뱀 타투?… 이미도 시스루룩 '파격'
"팔로 교묘히 가렸네"… 톱 여배우, 파격 상반신 누드
'한예슬 가라오케 친구' 이후… 고소영 "감사" 무슨 뜻?
'권상우♥' 손태영 롱원피스에… "키가 몇이야?"
경찰도 벌벌 떠는 실세 아들… 애꿎은 종업원만 체포
“여친 있냐” 질문에 “어쩔건데”라더니
조이, 상큼 섹시한 크로셰 패션… "각선미 눈길"
”물오른 미모”… 수영, 러블리 블라우스룩
"세련된 비주얼"… 김세정, 성숙해졌네

강한빛 기자 onelight9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