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구팀 "술 많이 마시는 여성, 임신 가능성 줄어"

이승구 2021. 6. 11. 14: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구팀은 19~41세 여성 413명을 대상으로 최대 19번의 월경 주기를 추적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술을 마시지 않고 건강한 전형적 여성이 한 멘스 주기에서 임신할 가능성이 25%라고 한다면 100명의 여성 중 술을 마시지 않는 여성은 25명이 특정 멘스 주기에 임신하는 데 비해 가벼운 음주를 하는 여성은 100명 중 20명, 과음하는 여성은 11명만이 임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41세 여성 413명 대상 최대 19번의 월경 주기 추적‧연구
"과음, 월경 주기 어느 단계든 임신 가능성 현저히 감소시켜"
"임신 마지막 '황체기', 가벼운 음주만으로도 임신 가능성↓"
연합
 
연구팀은 19~41세 여성 413명을 대상으로 최대 19번의 월경 주기를 추적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어떤 술을 얼마나 마셨는지 매일 일기를 쓰게 하고 멘스 주기마다 첫날과 둘째 날에 소변 샘플을 채취, 임신 여부를 점검했다. 

연구팀은 매주 마시는 술이 6잔 이상이면 ‘과음’, 3~6잔이면 ‘가벼운 음주’, 매일 4잔 이상을 마시면 ‘폭음’으로 규정했다. 

술 한 잔은 종류에 따라 맥주 335mL, 포도주 148mL, 독주 44mL로 계산했다. 

그 결과, 과음은 전체적으로 월경 주기 중 어느 단계를 가릴 것 없이 임신 가능성의 현저한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을 원하는 여성 가운데 일부는 월경 주기 중 특정 단계에서는 술을 마셔도 안전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이 결과는 매우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 멘스 주기의 마지막 단계인 황체기에는 과음만이 아니라 가벼운 음주조차도 임신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 주기가 28일일 경우 1~14일을 배란이 이뤄지는 ‘여포기’(follicular phase), 14~28일을 수정란의 자궁 착상이 이뤄지는 황체기라고 한다.

황체기에는 과음이나 가벼운 음주 모두 임신 가능성 44% 저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월경 주기에서 대체로 14일째가 되는 배란기에 과음이나 폭음을 하면 임신 가능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와 함께 배란기에는 과음이 임신 가능성 61%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술을 마시지 않고 건강한 전형적 여성이 한 멘스 주기에서 임신할 가능성이 25%라고 한다면 100명의 여성 중 술을 마시지 않는 여성은 25명이 특정 멘스 주기에 임신하는 데 비해 가벼운 음주를 하는 여성은 100명 중 20명, 과음하는 여성은 11명만이 임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황체기에 가볍게 술을 마시는 여성은 100명 중 16명만이 임신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폭음의 경우는 폭음하는 날이 하루 늘어날 때마다 황체기의 임신율은 19%, 배란기의 임신율은 41% 떨어지는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하지만 이 모든 수치는 예상치인 만큼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 인간생식·태생학 학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학술지 ‘인간 생식’(Human Reproduction) 최신호에 실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