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대면 다자외교 재개..'유럽 순방' 관전 포인트

허주열 2021. 6. 11. 0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6박 8일 일정으로 유럽 순방을 떠난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을 국빈 방문한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한미 정상회담 참석차 출국하기 위해 전용기에 탑승하며 인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글로벌 위상↑, 영국·호주·오스트리아·스페인 등과 협력 강화

[더팩트ㅣ청와대=허주열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6박 8일 일정으로 유럽 순방을 떠난다. 영국 콘월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일정(11~13일)을 시작으로 오스트리아(13~15일)와 스페인(15~17일)을 국빈 방문하고 18일 귀국하는 일정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멈췄던 대면 다자외교를 재개하는 이번 순방에서 어떤 성과를 갖고 돌아올지 주목된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9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초청으로 6월 11~13일 2박 3일 일정으로 영국 콘월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라며 "영국 방문 후에는 오스트리아 대통령과 스페인 국왕 초청으로 양국을 각각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대면 다자외교는 2019년 12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 이후 18개월 만이다.

먼저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 초청국(한국·인도·호주·남아공) 정상 지위로 참석해 12~13일 개최되는 G7 확대회의 세 개 세션(보건, 열린 사회와 경제, 기후변화와 환경)에 참여한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그린과 디지털을 주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 기간 영국, 호주, EU(유럽연합) 정상과 양자 회담도 갖는다. 일각에선 한·일, 한·미·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도 거론됐으나, 출국 전날까지 해당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출국 전까지 양자 회담 또는 삼자 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서 끝까지 노력할 것이고, 심지어 다자 회담 현장에서도 이런 노력을 지속될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G7 정상회의에 초청되면서 G20 회원국으로 중견 국가에 머물러 있던 한국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졌다는 게 청와대의 평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년 연속 G7 정상회의에 초대된 것은 G20을 넘어 G7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높아진 우리의 국제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번 정상회의는 우리나라가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자 민주주의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국가로서 당면한 국제적 현안 해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하는 기회로서 우리의 외교 지평을 더욱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국제경제 질서를 주도하는 G7 논의에 G7 국가들과 대등하게 참여해 공급망 강화와 자유무역 강화를 강조할 계획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세계 경제 회복과 우리 기업의 수출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영국 일정을 마친 뒤 오스트리아로 이동해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과 정상회담 및 국빈 만찬,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와 회담, 미하엘 루드비히 비엔나 시장 및 볼프강 소보트카 하원의장 접견 등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스페인으로 이동해 펠리페 6세 국왕과의 국빈 만찬, 페드로 산체스 총리와의 회담 및 오찬, 상원 및 마드리드 시청 방문, 마드리드 및 바르셀로나 경제인 행사 참석 등의 일정을 소화할 계획이다.

지난 2018년 8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등 G7 정상들이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회의를 시작하기 전 포즈를 취하는 모습. /뉴시스

청와대 측은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국빈 방문에 대해 "2019년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와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의 방한에 이어 답방 형태로 진행되는 것으로 코로나 이후 유럽 국가들과 대면 정상외교를 재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우리나라 대통령이 오스트리아를 방문하는 것은 1892년 양국 간 수교 이래 첫 방문으로, 전통적 우호 협력 관계를 더욱 단단히 다지고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 방문은 수교 130주년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중소기업의 강국이자 과학기술 선도국인 오스트리아와 실질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양국 간 교육‧문화 및 청소년 교류 활성화, P4G 서울 정상회의로 다져진 기후대응 협력 파트너십 강화, 포스트 코로나 녹색회복 및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전기차 등 친환경 분야 협력 강화 등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오스트리아는 기초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17명을 배출한 기초과학 분야 선도국이며, 세계 시장의 점유율이 1위에서 3위에 이르는 강소기업을 일컫는 히든 챔피언을 116개를 보유해 세계 3위인 국가로서 금번 방문은 4차 산업시대 혁신 기술 및 친환경 미래 산업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스페인 국빈 방문은 우리 대통령으로서는 14년 만에 이루어진 것이며, 스페인으로서는 코로나 유행 이후 최초의 국빈방문 접수다. 청와대는 이번 스페인 방문을 통해 우리나라와 비슷한 인구와 경제 규모를 가지며 민주주의, 법치, 다자주의 등 가치를 공유하는 유사 입장국이자 EU 내 4대 강국인 스페인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스페인은 해외 건설 수주 금액 2위의 건설 강국으로서 우리나라와 해외 건설 공동 진출을 확대하고, 친환경 미래 산업, 관광 산업, 보건 분야 협력을 증진할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아울러 코로나 극복을 위한 양국 간 및 국제무대에서의 보건 협력을 증진하고, 안정적인 통상 환경 조성을 위한 무역 투자 확대를 위한 세관 분야 협력 강화, 코로나 이후에 대비한 건설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스타트업 분야 협력 확대 등 실질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순방에는 김정숙 여사도 전 일정에 동행한다. G7 주최국인 영국과 국빈 방문하는 오스트리아·스페인이 모두 문 대통령 내외를 공식 초청했기 때문이다. 또한 오스트리아·스페인 국빈 방문에는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윤건영 의원이 특별수행원으로 동행한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유럽 내 대표적 우방국인 오스트리아와 스페인과의 의회 외교 활성화를 포함한 폭넓은 관계 강화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특별수행원을 동반하기로 했다"라며 "홍영표 의원은 한-오스트리아 친선협회 이사이고, 윤건영 의원은 국회 외통위 소속 의원으로서 이번 국빈 방문 시 의회 일정에 수행함으로써 이들 국가와의 의원 외교 강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sense83@tf.co.kr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