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반도체·바이오헬스, 정부 주도로 육성된다

김형준 2021. 6. 10. 2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곳을 2030년까지 미래자동차 기업으로 전환한다.

또한 부품기업의 사업재편 촉진을 위한 미래차 전용 펀드가 조성되고, 2025년까지 1만 명의 전문 인력도 양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혁신성장 BIG3(시스템 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추진회의에서 자동차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
홍남기 "미래차 시장 선점 필요"
K반도체 대규모 예타사업도 재추진
홍남기(오른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BIG3 추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곳을 2030년까지 미래자동차 기업으로 전환한다. 또한 부품기업의 사업재편 촉진을 위한 미래차 전용 펀드가 조성되고, 2025년까지 1만 명의 전문 인력도 양성한다. 아울러 K반도체와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책도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혁신성장 BIG3(시스템 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추진회의에서 자동차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이 내용엔 기술과 자금, 인력, 공정까지 4대 지원수단에 올해에만 2,826억 원 투입 방침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기존 70% 수준이던 미래차 소재 국산화율을 2025년까지 95%로 높이고, 후발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전용 연구개발(R&D)도 신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지원전략은 미래차 경쟁 구도로 바뀐 자동차 분야에서 내연기관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부품기업의 도태 위기가 감지되면서 마련됐다. 실제 지난달 발표된 한국자동차연구원 실태조사 결과, 자동차 부품기업 및 고용의 약 47%(4,195개사, 10만8,000명)는 엔진·동력전달·내연기관 전기장치 등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만 집중됐다. 사업재편을 하지 않을 경우 2030년까지 총 900개 기업이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 나왔지만, 부품업체 80%의 경우엔 미래차 대응계획이 없는 등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란 게 연구원 측 분석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에 대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수소차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부품업체도 미래차로 전환이 시급하지만 영세성, 낮은 기술 수준 등 전환 능력이 부족하다”고 진단하면서 “정부 차원의 미래차 시장 및 소재, 부품 시장 선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부가 이날 내놓은 추진 과제를 살펴보면 기존 ‘사업재편 지원단’을 확대·개편해 원스톱 지원 체제를 갖추고, 매년 내연 기관 전속 부품사 100곳 이상의 사업 재편 승인에 주력했다.

산업부는 이날 ‘K반도체 대규모 예타사업 본격 추진방안’도 내놨다. 이는 지난달 13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K반도체 전략 후속조치다. 크게 K반도체 벨트 구축, 반도체 성장기반 강화로 나뉜 이번 방안에선 △첨단센서 △인공지능 등 새로운 분야 기술 역량 강화부터 본격적인 추진 계획까지 담겼다. 첨단센서 기술개발을 위해 산업부가 센서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지자체는 제조혁신 플랫폼, 실증 인프라도 확보한다.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시험평가, 컨설팅부터 양산 공정 테스트까지 종합지원 ‘양산형 테스트베드’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 구축한다. 지난해 3분기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는 불발됐지만, 반도체 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감안해 사업 규모를 기존 3,000억 원에서 3,500억 원으로 확대해 올해 3분기 예타를 재신청하겠다는 게 산업부 계획이다.

‘백신·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임상시험 인프라 확충방안’에선 임상 전문 인력을 올해 1,600명에서 2025년엔 1만 명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청사진도 제시됐다. 홍 부총리는 “기업의 글로벌 임상시험을 지원하기 위해 보스턴 바이오밸리에 지원 거점을 설치하고, 2조2,000억 원 규모의 범부처 신약 개발 자금과 바이오 관련 정책 펀드 등을 활용해 임상 비용 부담을 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형준 기자 mediaboy@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