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세계 선박 수주 1위 탈환..전체 수주의 59%

정윤아 2021. 6. 10. 17: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조선업계가 지난달 세계 선박 수주 시장에서 다시 1위를 차지했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야드별 오더북(Order book) 데이터 기준, 올해 5월 전체 선박 수주량 242만CGT(89척) 중 한국이 142만CGT(40척, 59%)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앞서 지난 4월에는 전 세계 선박 수주량 305만CGT(98척) 가운데 중국 164만CGT(53척, 54%)를 수주해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조선해양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국내 조선업계가 지난달 세계 선박 수주 시장에서 다시 1위를 차지했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야드별 오더북(Order book) 데이터 기준, 올해 5월 전체 선박 수주량 242만CGT(89척) 중 한국이 142만CGT(40척, 59%)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이어 중국 88만CGT(37척, 36%), 일본 11만CGT(5척, 5%)로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앞서 지난 4월에는 전 세계 선박 수주량 305만CGT(98척) 가운데 중국 164만CGT(53척, 54%)를 수주해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 119만CGT(34척, 39%), 핀란드 8만CGT(2척, 3%) 순이었다.

1~5월 세계 누계 수주량(야드별 오더북 데이터 반영 기준)은 1907만CGT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 892만CGT(321척, 47%), 한국 832만CGT(212척, 44%)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5월 109만CGT 대비 약 7배(662%)가량 늘었다. 이는 2008년 1~5월 967만CGT를 기록한 이후 13년 만에 최대 규모다.

한국은 올해 발주된 LNG추진선 67척 중 31척(46%), LPG추진선 48척 중 36척(75%)을 수주해 친환경연료추진 선박에서 경쟁 우위를 보였다.

최근 3년간 1~5월 누계 선박 수주량은 ▲2019년 1301만CGT ▲2020년 683만CGT(전년 대비 47% 감소) ▲2021년 1907만CGT(179% 증가)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 대형 LNG선(14만0000㎥ 이상), 초대형 유조선(VLCC)은 증가한 반면, S-맥스(Max)급 유조선과 A-맥스급 유조선은 발주가 감소했다.

5월 클락슨 선가지수는 136.1포인트를 기록하며 6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2014년 12월 137.8포인트 이후 6년 반 만에 최고치이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과 초대형 유조선(VLCC)은 각각 4월보다 200만달러 오른 1억2250만달러, 9500만달러를 기록했다.

LNG선(17만4000㎥)과 S-max 유조선 역시 각각 100만달러 오른 1억8900만달러, 6300만달러다. A-max 유조선은 5050만달러를 유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yoona@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