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저가 출혈 경쟁 시대 저무나? 우버 등 요금 인상

이효상 기자 2021. 6. 10. 1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미국에서 우버·에어비앤비 등 플랫폼 업체들이 속속 요금을 인상하고 있다. 코로나19로부터 점차 벗어나면서 드라이버 등 노동력이 부족해 요금을 인상했다는 분석도 있지만, 그보다 더 큰 흐름의 요금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초기 이용자 유치를 위해 벌였던 디지털 기업의 저가 출혈 경쟁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이익 극대화로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는 얘기다.

포드의 모빌리티 벤처 부문 부사장인 써니 마드라는 지난달 말 트위터에 “뉴욕 중심부에서 존 F.케네디공항까지 가면서 우버에 낸 비용이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비행기 값만큼 들었다”고 말했다. 우버 이용료는 249달러(약 28만원)로 비행기 운임(262달러)과 큰 차이가 없었다.

포드의 모빌리티 벤처 부문 부사장 써니 마드라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우버 영수증과 항공편 영수증을 함께 올렸다. 뉴욕 중심부에서 존F케네디 공항까지 우버 이용료는 249달러였고, 비행기 운임은 262달러로 큰 차이가 없었다. 써니 마드라 트위터 갈무리


승차공유 플랫폼 기업인 우버와 그 경쟁사인 리프트는 지난달말 뉴욕타임스에 미국에서 승차공유 이용료가 인상됐고, 이용자가 차량을 기다리는 시간도 늘었다고 시인했다. 그러면서 다른 대부분의 산업처럼 코로나19 이후 줄어든 드라이버 숫자가 경기가 서서히 살아나는 현재까지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드라이버를 원활하게 확보하기 위해 이용료를 인상했다는 것이다.

이용료 상승폭도 낮지 않다. 시장분석업체 라쿠텐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우버와 리프트의 평균 이용료는 4월 기준으로 전년대비 40% 늘었다. 다른 분야의 플랫폼 업체도 이용료가 오르고 있다. 도어대시, 그럽허브 등의 음식배달 플랫폼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호황을 겪으면서도 꾸준히 요금을 인상했다. 숙박 공유 플랫폼인 에어비앤비도 올해 1분기 하루 평균 숙박요금이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사업이 궤도에 올라온 플랫폼 기업들이 포스트 코로나19를 맞아 노동력 확보 뿐 아니라 사업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디지털 기반 플랫폼 기업들은 사업 초기에 고객 확보를 위해 손해를 감수하면서 저가 출혈 경쟁을 벌였다. 손실은 투자자들의 막대한 투자금으로 메웠다. 투자금이 바닥나 파산한 기업도 적지 않다. 때문에 경쟁자를 도태시키는 이 같은 저가 경쟁은 ‘약탈적 가격’이라 불리기도 했다. 경쟁자가 모두 사라지면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며 가격을 크게 올릴 수 있다는 비판도 계속됐다. 이것이 현실이 될 지 모른다. 실제 지난 8년간 적자를 거듭했던 우버와 경쟁사인 리프트는 올해 공히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뉴욕타임스의 기술분야 칼럼니스트 케빈 루스는 8일(현지시간) “2012년부터 2020년 초까지의 기간을 밀레니얼 세대 라이프스타일에 보조금이 지급되던 황금기로 볼 수 있다”며 “이용자들은 이제 처음으로 자신들의 생활 습관이 실제로는 사치스러운 소비였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있다”고 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우버 드라이버들이 지난해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의 자택 앞에서 “여기 도둑이 산다”는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긱워커스라이징 트위터 갈무리


코로나19가 전략의 수정을 앞당긴 것일 수 있다. 거의 모든 산업이 타격을 입었지만 유연한 노동력을 사용해 노무비용을 낮춘 플랫폼 기업은 타격이 덜 했을 가능성이 있다. 우버는 코로나19로 인한 드라이버들의 실직에 대해서도 아무런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다. 시카고 시의원인 브렌단 레일리는 시카고 선타임스에 “수백만명의 통근자들이 집에서 일하면서 택시 산업은 완전히 붕괴됐다”며 “(코로나 이후) 보통 15달러였던 우버 이용료가 현재 40달러 정도가 됐다. 이것은 약탈적”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시는 우버 등이 수요가 많을 때 임의로 정하는 ‘급등요금’을 평상시보다 1.5배 이상 높이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어쩌면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노동력에 헐값을 지불하며 이용해온 서비스의 가격이 정상화되는 과정일 수도 있다. 그러나 시장 독점은 서비스 이용자 뿐 아니라 노동자에게도 해로울 가능성이 높다.

워싱턴포스트는 10일 요금 인상에도 “드라이버들이 고객이 지불한 돈에 따라 보상받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버는 최근 고객이 지불한 돈에서 일정 비율을 드라이버에게 지급하던 기존의 보수체계를, 드라이버가 주행한 거리와 시간에 따라 보수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이 방식이라면 고객이 아무리 많은 돈을 내도, 드라이버는 주행 거리만큼의 대가만 챙길 수 있다. 리프트 역시 2016년부터 고객이 낸 돈과 드라이버가 받는 보수를 분리시켰다. 승차공유드라이버연합의 벤 발데스는 워싱턴포스트에 “새 변화로 인해 일관된 수익을 얻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며 “임금삭감으로 귀결된다”고 말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