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라기 영화 스타가 된 백악기 공룡

한겨레 2021. 6. 10. 1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쥬라기 공원> 이 1993년 6월11일 개봉했다.

그때까지 영화 속 공룡은 뻣뻣이 몸을 세운 채 느릿느릿 움직였기 때문이다.

영화가 나온 다음 벨로키랍토르가 깃털로 덮인 공룡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쥬라기 공원> 후속편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영화의 스타 공룡인 벨로키랍토르와 티라노사우루스는 쥐라기에 살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역사다][나는 역사다] 벨로키랍토르(7500만년~7100만년 전)
벨로키랍토르(7500만년~7100만년 전)

영화 <쥬라기 공원>이 1993년 6월11일 개봉했다. 공룡의 날렵한 몸놀림에 관객은 놀랐다. 그때까지 영화 속 공룡은 뻣뻣이 몸을 세운 채 느릿느릿 움직였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공룡에 대해 상상하는 모습은 영국 <비비시>의 1999년 다큐멘터리 <공룡대탐험>과 더불어 이 영화에 빚진 바 크다.

영화가 과학적으로 정확하지만은 않다. “스필버그 감독은 내 의견이 어떤지 늘 물었는데 조언에 따를지 말지 결정은 자신이 했다.” 고생물학자 잭 호너의 회고다. 티라노사우루스는 영화와 달리 시력도 좋고 냄새도 잘 맡았다. 벨로키랍토르는 크기가 칠면조만큼 작았다. 영화가 나온 다음 벨로키랍토르가 깃털로 덮인 공룡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쥬라기 공원> 후속편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표기법에 따르면 ‘쥐라기'가 맞고 ‘쥬라기'는 틀렸다. 무엇보다도 영화의 스타 공룡인 벨로키랍토르와 티라노사우루스는 쥐라기에 살지 않았다. 한참 뒤인 백악기의 공룡이었다. “그래도 (제목이) ‘백악기 공원'이라면 느낌이 별로였을 것 같아요.” 고생물학자 스티브 브루사티의 너스레다.

영화는 크게 성공했다. 지금까지 <쥬라기 공원> 2편과 3편, <쥬라기 월드> 1편과 2편이 나왔다. 레고 공룡들이 뛰어노는 애니메이션 <레고 쥬라기 월드> 시리즈도 나는 무척 좋아한다. <쥬라기 월드> 3편이 오늘, 2021년 6월11일에 개봉할 예정이었다. ‘공원’ 3부작에 이은 ‘월드’ 3부작이 어떻게 끝을 맺을지, 공룡에 대해 새로 알게 된 과학적 사실들이 어떻게 등장할지, 사람들은 궁금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때문에 일정대로 영화를 찍을 수 없었고 개봉도 내년 이맘때로 밀렸다. 일상을 되찾으면 좋겠다, 사람도 공룡도.

김태권 만화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