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 선정

안호천 2021. 6. 10. 09: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로 선정돼 NH농협은행의 선도 사업을 수행한다.

표준 사업자가 수행할 과업 중 하나인 재해복구센터(DR)의 퍼블릭 클라우드로의 이전은 국내 1금융권 최초로 이뤄지는 사업이다.

김태창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사업 총괄 전무는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 선정은 국내 금융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 사업을 수행하며 쌓은 기술력과 고객 신뢰를 인정받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로 선정돼 NH농협은행의 선도 사업을 수행한다. 1금융권의 재해복구(DR)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국내 첫 사례로 이목이 집중된다.

사업은 올해 5월 공고 이후 '클라우드 업계 별들의 전쟁'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했다. 국내 최대 규모 점포를 운용하며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는 농협은행의 중요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금융권 공략에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표준 사업자가 수행할 과업 중 하나인 재해복구센터(DR)의 퍼블릭 클라우드로의 이전은 국내 1금융권 최초로 이뤄지는 사업이다. 업계 대표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사업자 선정은 업무의 중요도 및 형태를 고려해 중요업무와 비중요업무로 구분해 이뤄졌다. 네이버클라우드(메타넷티플랫폼)과 AWS(클라우드그램) 2개 사업자가 농협은행의 중요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표준 사업자로 선정됐다. 중요업무 표준 사업자는 고유식별정보 및 개인신용정보 처리 업무, 재해 복구 시스템 등 농협은행 내부망과 전용선 연결을 담당하며 농협의 핵심 비즈니스를 다룬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농협은행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재해 복구 시스템 구축,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구축, 연구 개발(R&D) 및 코딩 실습 환경 구축 등 3가지 선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표준사업자 선정 배경에는 네이버클라우드가 규제를 준수하며,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데 집중해왔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금융 상위 감독규정을 100% 준수하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으로 보안 및 심의 요건을 충족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신속하게 구축 가능하다. 보안 규정이 변경되는 경우 컴플라이언스 팀이 국내에 있어 타사 대비 가장 빠르게 대응이 가능하다.

맞춤형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역량을 보유해 농협은행이 고려하는 업무 중요도와 애플리케이션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클라우드 확장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다. 일반 기업이 사용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완전히 물리적으로 분리한 금융 전용 데이터센터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며, 완전 관리형 고객 전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상품인 '뉴로클라우드(Neurocloud)'로 기업의 데이터 통제권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네이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클로바(CLOVA) AI 특화 서비스를 제공해 금융기업이 경쟁력 있는 다양한 서비스 구현에 클라우드 신기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김태창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사업 총괄 전무는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 선정은 국내 금융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 사업을 수행하며 쌓은 기술력과 고객 신뢰를 인정받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선례를 뛰어넘는 역량을 발휘해 NH농협은행의 중요업무 선도 과제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