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연 등 국제 연구팀 개발 적외선 카메라, 美 나사(NASA) 로켓에 실려 발사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2021. 6. 9. 22: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적외선 카메라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로켓에 실려 발사가 됐다.

9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천문연이 참여한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실험-2(CIBER-2·Cosmic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2)를 수행하기 위해 NASA ’블랙 브랜트 9호‘(Black Brant Ⅸ) 로켓이 지난 7일 오후 4시25분(한국 시각) 미국 화이트 샌드 미사일 기지에서 발사됐다.

천문연과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로체스터 공과대, 일본 관서대가 참여하는 CIBER-2 실험은 고감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근적외선 영역 우주배경복사(CMB·Cosmic Microwave Background, 빅뱅 후 우주 나이 30만년 정도의 초기에 생성된 최초의 별과 은하들이 내뿜는 빛)를 관측하기 위한 실험이다.

발사된 로켓은 고도 325㎞까지 날아가 적외선 카메라로 약 350초 동안 12평방도 영역 우주 공간을 관측했다. 관측 수행 후 다시 지구로 떨어진 로켓은 회수해 재활용 된다.

천문연은 CIBER-2 탑재체 핵심 부품인 적외선 검출기와 데이터 처리·전송을 위한 전자 시스템, 지상 전자 장비 개발 등을 맡았다.

우주배경복사는 주파수가 짧은 마이크로파 영역에서부터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까지 다양하게 발생하는데, 적외선 영역의 우주배경복사는 우주 초기에 발생한 것이어서 희미하다.

지상에선 지구 대기에 의해 손실돼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인공위성이나 로켓 등을 활용해 관측해야 한다.

CIBER-2의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을 통해 은하와 은하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떠돌이 왜성의 분포와 양 측정, 우주 진화 모델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