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1천만 명 돌파 예상.."면역 반응과 항체 형성 무관"

김미희 2021. 6. 9. 2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오늘까지 백신 1차 접종자는 978만 명, 내일 오전이면 1천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내일부터는 얀센 백신 접종도 시작이 되는데요.

이렇게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궁금한 점들도 참 많으시죠.

오늘은 백신을 맞고 이상반응이 강하게 나타나야 항체가 잘 생기는 건지, 김미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백신을 맞은 뒤 나타나는 이상 반응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심한 근육통과 고열에 시달리는가 하면.

[민지은(32세)/서울대병원 간호사] "팔을 올리기가 힘들었습니다. 열은 한 38.5도까지 올랐고…"

몸에 별다른 증상이 없어 오히려 걱정하기도 합니다.

[김기선(67세)] "조금 열이 있거나 근육통 있는 사람들이 오히려 항체가 더 생기는 거 아니냐 아무 작용이 없는 사람보다… 그게 궁금했죠."

하지만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백신을 접종한 뒤 나타나는 이상반응과 항체 형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습니다.

[박완범/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부작용이 아예 없거나 아주 가볍게 있었던 경우도 항체가 잘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부작용 미미하다고 해서 항체가 형성된 것 아닐까 봐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상반응 신고율은 젊은층에서, 특히 여성에서 높습니다.

이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항체 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박완범/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코로나 백신뿐 아니라) 그전의 백신에서도 독감 백신이나 이런 것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있습니다. 젊은 연령일수록 여성에서 더 면역 반응이 강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을…"

또 아데노바이러스 전달체 방식으로 만들어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과거 비슷한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험이 있으면 이상 반응이 적을 수 있습니다.

[천은미/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이미 아데노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어떤 면역을 갖고 있기 때문에 훨씬 그 반응이 조금 적게 나타나는 거죠."

결론적으로 이상 반응의 강도와 면역 생성은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이상반응이 나타났을 때 먹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해열제를 접종 전 미리 먹으면 오히려 면역반응을 낮출 수도 있습니다.

MBC 뉴스 김미희입니다.

(영상취재: 이관호 / 영상편집: 이지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미희 기자 (bravemh@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260998_34936.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