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조스·머스크 등 美 최고 갑부들 세금은 쥐꼬리

윤지로 2021. 6. 9. 19: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프 베이조스(왼쪽 사진) 아마존 창업자나 일론 머스크(오른쪽)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같은 세계적 갑부들이 '쥐꼬리'만큼만 소득세를 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에게 적용된 실제 세율은 평범한 미국인의 4분의 1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들이 같은 기간 연방소득세로 납부한 세액은 136억달러에 그쳤다.

베이조스는 2014∼2018년 990억달러만큼 자산을 불렸지만, 이 기간 낸 연방소득세는 1%도 안 되는 9억7300만달러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제세율 3.4%.. 일반인의 25%
447조 불렸지만 세금 고작 15조
"세금회피 전략으로 혜택 누려"
제프 베이조스(왼쪽 사진) 아마존 창업자나 일론 머스크(오른쪽)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같은 세계적 갑부들이 ‘쥐꼬리’만큼만 소득세를 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에게 적용된 실제 세율은 평범한 미국인의 4분의 1에 불과했다.

8일(현지시간) 미 탐사보도매체 프로퍼블리카가 연방국세청(IRS)의 미공개 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미 최상위 부자 25명의 자산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총 4010억달러(약 447조원) 불었다. 그러나 이들이 같은 기간 연방소득세로 납부한 세액은 136억달러에 그쳤다. 이들에게 적용된 실제 세율은 겨우 3.4%에 불과한 셈이라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이는 연 7만달러를 버는 미국 중위소득 가정이 연방정부에 14%를 세금으로 내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베이조스는 2014∼2018년 990억달러만큼 자산을 불렸지만, 이 기간 낸 연방소득세는 1%도 안 되는 9억7300만달러였다. 천문학적 재산 증가액 가운데 과세 가능 소득은 42억2000만달러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 시기 머스크는 3.27%에 해당하는 4억5500만달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2370만달러(0.1%),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은 2억9200만달러(1.3%)를 연방소득세로 냈다.

프로퍼블리카는 전통적인 급여 소득에 의존하는 대다수 미국인과 달리 억만장자들은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는 세금 회피 전략으로 종종 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상위 부자의 소득은 거의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자산인데, 이는 팔아서 양도차익을 보지 않는 이상 과세 대상이 아니다.

‘기업 사냥꾼’으로 유명한 미국 헤지펀드 투자자 칼 아이컨도 거액의 대출이자 납부 등에 따른 세금 공제로 2016∼2017년 연방 세금을 피해갔다.

윤지로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