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식품영양정보 원스톱 서비스 구축 및 활용 지원

2021. 6. 9. 14: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유은혜),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6월 9일(수) 오후 2시 세종시티호텔(오송)에서 ‘식품영양정보 DB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번 협약은 정부 관계 부처마다 흩어져 있는 식품영양정보를 표준화해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생산하고, 해당 정보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학교 등 공공분야는 물론 민간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했습니다.
 ○ 주요 협력 분야는 ▲식품영양정보 표준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작업절차(SOP) 수립 ▲매년 통합 공개하는 식품품목과 영양정보 확대 ▲식품영양정보 공공․민간 서비스 활용 지원 등입니다.
□ 첫째, 각 부처는 보유한 정보*를 표준화해 공공데이터포털(행안부) 등에서 통합 제공합니다.
 ○ 각 부처는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에 체계화된 표준코드를 부여해 식품정보와 영양성분정보의 표기방법(단위, 명칭 등)을 통일시키고 중복된 식품영양정보를 삭제·보완 등 관리해 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 또한 다양한 종류의 식품과 영양정보가 자동 연계될 수 있도록 각 부처의 데이터베이스 개방을 위한 표준작업절차서(SOP)를 마련합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안전나라 식품영양성분 DB),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농식품올바로 메뉴젠 DB),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수산식품 통합정보시스템)
  - 각 부처는 통합된 식품영양정보를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오픈API 방식으로 제공해 국민과 기업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둘째, 각 부처는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매년 통합 공개하는 식품품목과 영양정보를 단계적으로 확대합니다.
 ○ 농식품부(농진청)는 변화하는 소비 경향을 반영해 농산물을 포함한 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정보를 확대하고 우리 국민이 건강식단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 농․축산물 등 식품 DB(식품수): (`21) 2,540건 → (`22) 3,000건 → (`25) 4,000건 
 ○ 식약처는 가공식품의 영양정보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조리식품(외식)의 영양성분 분석항목을 확대(80개→108개 항목)해 더욱 다양한 영양정보를 제공합니다.
     * 가공식품․외식 등 식품 DB(식품수): (`21) 48,486건 → (`22) 60,000건 → (`25) 100,000건 
 ○ 해수부(국립수산과학원)는 전통수산식품의 영양정보 조사대상을 확대해 수산식품 통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표준수산물성분표에 수록되지 않은 영양성분을 대폭 확대(67개→130개 항목)해 더욱 다양한 영양정보를 제공합니다.
     * 수산물 등 식품DB(식품수): (`21) 1,366건 → (`22) 1,728건 → (`25) 2,000건 
 ○ 교육부는 각 부처에서 제공하는 최신 식품 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각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4세대 나이스(NEIS) 학교급식 시스템(`23년 개통 예정)’에 연계해 지원합니다.

□ 셋째, 식품영양정보를 활용하는 공공·민간분야 지원을 강화합니다.
 ○ 표준화된 영양정보는 학교 등 집단급식소에서 식단 개발과 영양관리에 활용할 수 있으며, 학부모와 학생에게도 실시간으로 영양․안전정보를 제공해 건강관리에 활용합니다.
   - 또한 전국 어린이급식센터에 영양학적으로 균형잡힌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어린이 급식관리시스템*’ 구축에도 활용됩니다.
    * 성장기를 고려한 연령별·대상별 맞춤형 식단, 저염식·제철식단, 식재료 수급이 어려운 경우 대체식단을 인공지능(AI)이 추천해 어린이에게 질 좋은 급식 제공
 ○ 통합형 식품영양정보는 지능형 플랫폼을 개발·운영하는 기업 등에게 혁신적인 신(新)사업 발굴의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식품영양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이번 협약식에 참석한 농식품부 권재한 국장, 교육부 전진석 국장, 식약처 우영택 국장, 국립수산과학원 차형기 부장은 “국민 건강증진이라는 공동목표를 위해 식품영양․안전분야의 공공데이터 활용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각 부처가 힘을 합쳤다”면서
 ○ “이번 업무협약 체결에 따른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로 각 부처에 흩어져 있던 정보를 통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고 앞으로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개인의 건강관리와 식생활 영양․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